지난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일본 엔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100엔당 798.70원으로 마감, 지난 97년 11월 이후 8년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700원대로 추락, 중소기업 수출전선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일본에 노트를 수출하고 있는 B상사 이 대표는 “지난해에 비해 엔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20%나 절상돼 마진이 줄어들고 있다”며 “10% 원가 절감 등 자구책을 마련 가동했지만 이젠 한계에 달했다”고 걱정했다.
요즘 같은 때 대일 수입업체들이 가장 부럽다고 밝히는 이 대표는 “일본 바이어들로부터 중국으로 옮기라는 권유를 많이 받는다”며 “엔화 환율마저 이같이 하락해 버리면 그동안 일본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노력들이 물거품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환율시장 안정을 주문한 인조대리석 제조기업 G산업 관계자는 “정부의 환율방어 노력이 일시적인 효과겠지만 현재로서는 가장 절실하다”며 “민간연구소 발표 환율전망을 신문에서 접하고 경영전략에 반영하고 있다”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털어놨다.
이 관계자는 또 “전문인력 부족 등 환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든 것이 중소기업의 현실적인 애로사항”이라며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환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체계적인 인프라 구축을 요청했다.
800원대 환율유지를 요청한 K사 류 이사는 “몇년 째 납품가격 인상 없이 일본수출에 나서고 있다”며 “환율변동만으로 연간 최대 1억2천만원의 손실을 보고 있어 현 수준의 원·엔 환율에서는 수출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부직포를 일본에 수출하는 S공업 윤 과장은 “내부적으로 적정환율을 800원 정도 예상, 여기에 맞춰 경영계획이 짜여졌다”고 밝히고 “정부의 환율안정 의지 못지 않게 기업 스스로도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엔저 현상이 지속돼 일본업체들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질 경우 대일 수출업체뿐 아니라 일본 업체들과 경쟁이 치열한 전기·전자, IT(정보기술) 등의 수출에도 막대한 타격이 예상된다는 점.
무역연구소 신승관 박사는 “환율 하락이 지속되면 지금의 경제구조로는 중소기업들의 수출 포기를 막을 방법이 없다”면서 “정부가 적절한 시점에 외환시장에 개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원·엔 환율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중소기업 애로조사단’을 구성, 운영키로 했으며 11월초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