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부족과 비용부담 등으로 수출 중소기업들 82.3%는 환율변동에 따른 환위험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신용보증기금(코딧, 이사장 김규복)이 2005년말 기준으로 수출실적이 있는 중소제조업체 309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환위험 관리를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기업이 48.1%이며, ‘부분적으로 환위험을 관리한다’고 답한 기업은 34.2%로 전체 응답기업의 82.3%가 환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환위험을 관리하지 않는 이유로 ‘전문인력 부족’(21.5%)이 가장 많았으며, ‘적절한 관리방법을 몰라서’(18.4%), ‘환위험 관리에 따른 비용’(16.6%) 순으로 응답해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환위험관리 교육이나 컨설팅 등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위험관리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시중은행의 선물환거래’(35.1%), ‘한국수출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가입’(29.2%), ‘수출입계약 대금결제일 조정’(22.1%) 순으로 답했다.
환율 관련 정부대책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환율안정 대책’(49.0%)과 ‘세제, 금융지원 등 각종 수출지원 대책’(45.6%)을 들어 수출 중소기업들은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관리 교육이나 전문인력 양성보다는 정부의 직접적인 환율대책이나 수출 관련 금융지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손익분기점 환율에 대해서는 평균 손익분기점 환율이 원·달러 환율의 경우 959.8원 수준이며 원·엔 환율의 경우 831.4원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원·달러 환율의 경우 893.3원, 원·엔 환율은 743.1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수출이 불가능하다고 답해 현재의 환율수준이 수출 불가능한 환율보다는 다소 높지만 손익분기점 환율보다는 훨씬 낮아 향후 수출이 상당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예상하는 올 평균 원·달러 환율은 927원 수준이었고 920~950원대로 예상한 업체가 67.9%로 가장 많았다.
수출기업의 88.4%는 원화강세가 회사경영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으며, 원화강세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은 ‘채산성 악화’(38.5%), ‘가격경쟁력 유지 곤란’(33.1%), ‘수출시장 유지 곤란’(14.8%) 등을 꼽았다.
코딧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의 상당수가 환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수출 중소기업은 유럽, 중동 등 수출선을 다변화하고 결제통화도 유로화 등으로 다변화하는 등 환위험 분산을 통해 환율하락과 가격변동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