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년 베이징올림픽 이후 경제성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중국 경제 위기 진단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1988년 서울올림픽과 일본의 1964년 도쿄올림픽 개최 전후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중국경제도 한국과 일본처럼 베이징올림픽 직후 경제성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한국과 일본은 개발도상국의 지위에서 중진국으로 발돋움하는 단계에서 올림픽을 개최했다는 점이 현재 중국이 처해 있는 상황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일본경제는 올림픽 개최 이전에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올림픽 직후 경제성장률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이에 따라 최근 11%대의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중국경제도 베이징올림픽이 열리는 내년에는 10% 내외로 성장세가 낮아질 것이라는 게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전망이라고 연구원은 밝혔다.
연구원은 중국경제가 중복·과잉투자로 인해 투자수익률 저하와 인플레 가능성이 있고, 중국 정부의 유동성 관리 능력이 미흡해 중국경제에 위기가 촉발될 가능성이 있으며, 자산시장 버블(거품)이 내수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년 이후 중국의 성장세가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의 근거를 제시했다.
연구원은 IMF 위기 판단 지표를 이용해 아시아 외환위기 국가들의 경제상황과 최근 중국경제를 비교해본 결과, 중국경제는 경제성장률, 재정수지적자 비율, 국가채무비율, 자본유입과 단기외채 규모 등 거시경제 지표 부문이 아시아 외환위기 국가들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대외 불균형 위기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의 비중, 대출총액 대비 부실채권 비중 등 자본시장 지표들의 불안정성이 나타나고 있어 중국경제의 안정성장에 큰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연구원은 중국경제의 성장세가 크게 약화될 경우 우리나라와 중국의 높은 경제적 연관성을 고려해볼 때 우리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중국경제의 위기가 국내 금융시장으로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중국 리스크 분산을 위한 포토폴리오 관리가 필요하며 중국에 대한 높은 수출 의존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