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여파가 실물경제로 파급되는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11월 제조업 경기전망이 통계조사를 시작한 이래 1998년 4분기 이후 최악으로 나타나고 9월 광공업 생산이 크게 위축되며 경기선행·동행지수가 올들어 8개월째 동반하락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10월에 5개월만에 12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증가율은 반절로 뚝 떨어져 우리경제에 먹구름을 짙게 드리우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2천12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10월 기업경기 조사결과’에 따르면 11월 업황전망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는 65로 전월의 78에 비해 13포인트나 급락했다.
이는 1998년 4분기(55)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월별로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3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현재의 제조업 업황을 나타내는 10월 BSI도 67로 전월의 73에 비해 6포인트나 하락하면서 2003년 8월(67) 이후 가장 저조한 수준을 기록했다.
이 같은 우려는 지식경제부와 산업연구원이 7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BSI 조사 결과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3분기 BSI는 2분기 보다 7포인트 하락한 87로 조사됐다. 향후 경기전망을 나타내는 4분기 BSI는 3분기 보다 9포인트나 하락한 78을 기록해 향후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짙어질 것으로 우려됐다.
이 같은 제조업의 11월 업황전망은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
실물경제 침체의 우려는 9월 광공업 생산이 7년 만에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한 데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광공업생산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6.1% 증가에 그쳤다. 그러나 이는 전월에 비해서는 0.6% 감소한 것으로 3개월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다. 2000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특히, 조업일수를 감안한 조정지수 증가율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0.8% 감소해 2001년 9월(-3.0%) 이후 7년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증가율을 나타냈다.
9월 생산자제품 출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9% 증가했지만 생산자제품 재고는 17.4% 늘어나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은 8개월째 경기 둔화·하강국면에 위치했으며 이는 앞으로도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9월 서비스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0%, 전달에 비해서는 0.2% 증가하는데 그쳤다.
설비투자는 전년동월 대비 7.3% 증가했지만 선행지표인 기계수주는 33.4% 감소해 투자심리가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달보다 0.3포인트 하락해 8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도 전년동월 대비 0.2%포인트 하락, 10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8개월째 동반하락한 것은 198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이후 최초이다.
한편, 수출증가율 역시 둔화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경제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10월 수출이 5개월만에 12억달러의 흑자로 반전됐지만, 증가율은 전년동월 대비 10.0%에 그쳐 올해 1~9월의 증가율 22.7%의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1~10월의 무역수지 적자는 134억5천만달러를 기록했고 향후 11, 12월 40억달러 정도의 흑자를 기록한다 하더라도 올 누적적자는 90억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도 우리경제 성장률은 4% 안팎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참여정부 출범 첫해 3.1% 이후 가장 낮은 것. 경제성장률은 2004년 4.7%, 2005년 4.2%의 4%대 성장을 보였고 2006년과 2007년에는 5.1%와 5.0%로 5%대를 기록했다.
경제전문가들은 금융위기 영향으로 앞으로 경기하강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생산은 줄고 재고는 증가하며 경기 선행지수·동행지수가 동반하락하는 것은 전형적인 경제불황의 특징이어서 이 같은 예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에 마련한 종합대책을 차질없이 수행, 재정지출 확대와 감세정책을 통해 수출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내수경기를 활성화해 우리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안정적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등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기획취재팀>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