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해 중소제조업의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순이익률·부가가치율은 떨어졌고, 부채비율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총자산, 자본금은 증가세를 보였고, 중소제조업체 인력부족률은 2.36%로 5만명이 부족했다.
중소기업청(청장 홍석우)은 중소기업 부담완화를 위해 올해 처음으로 중소기업실태, 인력실태, 사업전환 등 통계조사를 하나로 통합해 실시한 ‘2009년 중소제조업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중기청은 5인 이상 중소제조업체 8천개, 지식기반 서비스업체 2천개를 대상으로 이 조사를 실시했다. 주요내용을 소개한다.
일반실태
업체당 평균 설비투자금액은 8천600만원으로 전년 7천810만원 보다 9.4% 증가했다. 기술개발투자 실시업체 비율은 27.6%로 전년 22.6%보다 5.0%포인트 늘어났다. 그러나 업체당 평균투자금액은 1억7천7백만원으로 전년 2억원 보다 2천3백만원이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기술개발투자금액 비율은 전년 2.85% 보다 0.32%포인트 줄어든 2.53%를 기록했다.
중소제조업의 총 판매액은 판매단가 상승으로 전년대비 22.8% 증가한 457조원을 보였고, 판매대금 결제방식은 현금결제가 76.7%로 전년보다 0,7%포인트 증가했다. 원부자재 구매금액은 수입 원자재가격 상승과 환율인상 등으로 전년 보다 33.9%나 늘어난 238조원을 기록했다.
수위탁 거래 기업체 비중은 53.6%로 전년 60.6%에 비해 4.3%포인트 감소했다. 납품총액은 163조원으로 전년대비 4.5%포인트 늘었다. 수급기업의 모기업 거래의존도는 81.6%로 작년 보다 3.4%포인트 하락했다.
납품단가 인하 요구는 전년보다 10.9%포인트 증가한 60.7%를 보였고, 원자재가격 상승분 미반영은 전년보다 12.5%포인트 줄었으나, 54.7%로 여전히 비중이 높았다.
경영실태
총자산, 자본금, 매출액 등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총자산은 토지와 재고자산 증가 등으로 전년 보다 5.64%포인트나 늘었고, 자본금과 매출액은 전년대비 5.93%포인트, 13.78%포인트가 각각 증가했다. 매출영업이익률은 판매관리비 비중 하락으로 0.67%포인트 올랐으나, 세전순이익률은 이자비용 등의 증가로 0.32%포인트 떨어졌다.
차입금이 전년보다 25.1% 늘어 부채비율은 4.71%포인트 올라간 155.57%를 보였고, 자기자본비율은 0.73%포인트 줄어든 39.13%를 기록했다. 부가가치율은 23.55%, 부가가치를 총자본으로 나눈 총자본투자효율은 27.51%로 전년대비 각각 1.97%포인트, 1.43%포인트 하락했다.
인력실태
올 5월 1일 현재 총 종사자수는 208만8천명으로 전년 216만2천명에 비해 7만4천명(3.4%) 감소했으며, 업체당 평균종사자수는 17.6명으로 전년대비 1.3명(6.9%) 줄어들었다. 인력부족률은 현재 2.36%로 5만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향후 1년간 인력부족률은 2.75%로 5만9천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제조업체의 가동률 부진 등으로 생산직(2.76%)이 전년(3.24%)에 비해 0.48% 떨어져 전년대비 0.32%포인트 하락했다. 직종별로는 전문가 4.63%, 기능직 2.96%, 단순노무직 2.66%, 기술직·준전문가 2.60% 순으로 나타났다.
인력확보 애로요인으로는 취업지원자가 없음이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금·작업환경 등 근무여건 열악 43.0%, 지원자 중 직무능력을 갖춘 자가 없음 40.0%, 회사 소재지의 지역적 여건 25.3% 등의 순으로 지적했다.
인력부족 문제 해결(복수응답)을 위해서는 생산설비 자동화(38.7%)를 대안으로 가장 많이 제시했고, 임금인상·복지여건 개선 32.1%, 외국인력 활용 확대 22.7%, 비정규직 활용 확대 11.0%, 실버인력 활용 확대 8.3% 등이 뒤를 이었다.
사업전환
사업전환 추진계획이 없는 기업은 81.1%로 가장 많았고, 완료기업은 1.1%에 불과했다.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17.8%로 나타났다. 사업전환 완료 후 경영성과는 매출액, 종업원 수는 크게 늘었으나, 영업이익, 시장점유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전환을 추진하게 된 동기는 주력업종의 수익성 저하가 34.8%로 가장 높았고, 사업다각화로 새로운 수익원 확보(23.7%), 주력업종의 성장 불투명(14.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도움이 되는 정부지원제도로는 사업전환자금 융자지원(56.0%)을 가장 많이 꼽았고, 기술개발 비용지원(15.0%), 인력배치 지원금 등 고용안정 지원(10.5%)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