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Mentor)란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오딧세이(Odysseus)가 트로이 전쟁에 출정하면서 사랑하는 아들을 가장 믿을만한 친구에게 부탁하게 됐는데, 그 친구의 이름이 바로 멘토(Mentor)였다.
멘토는 오딧세이의 아들을 선생, 친구, 부모의 역할을 하면서 훌륭하게 성장시켰다. 10년이 넘어서야 오딧세이는 다시 전장에서 돌아왔고, 자신의 아들이 너무도 훌륭하게 성장한 것을 보게 됐다.
이러한 연유로 멘토라는 이름은 이후 훌륭한 선생님이나 지도자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게 됐고, 멘토링(Mentoring)도 이에 따라 멘토가 오딧세이의 아들에게 실행한 ‘교육의 모습’을 의미하기에 이른 것이다.

구성원간 활발한 상호작용 필수
이제 멘토라는 이름은 ‘지혜와 신뢰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주는 훌륭한 지도자나 스승’과 같은 동의어로 각 분야에서 사용되고, 멘토링(Mentoring)이란 말도 회사나 점포 등 조직 내에서 조언해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간에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멘토링은 예전에 선풍적인 인기 속에 방영돼 우리의 심금을 울려 주었던 TV 드라마 ‘허준’을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스승인 유의태와 허준의 관계가 바로 멘토링 관계인 것이다. 또한 불구의 몸으로 업적을 남긴 헬렌 켈러와 설리반 선생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유의태나 설리반이 없었다면 허준이나 헬렌 켈러와 같은 훌륭한 인물이 탄생할 수 없었던 것처럼, 세계적인 위인들의 주변에는 항상 멘토가 있었다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중소기업이나 소규모의 점포일지라도 조직구성원들이 학습하는 행위나 지식들은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습득하는 경우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직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이 신참자에게 관심을 갖고 상당한 영향을 주는 역할을 수행할 때, 그 사람을 바로 멘토라고 부르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멘토는 경험이 많은 고참선배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후배 또는 동료에게 조직 관리자로서 업무지식이나 기술, 정보 또는 대인관계 등에서 알아둬야 할 여러 가지 사항들을 지원해 주고 지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새로운 조직문화 창조의 원동력
멘토의 역할은 선생이나 스승 또는 코치로서의 역할, 보호자로서의 역할, 후원자로서의 역할, 안내자로서의 역할 등 인재 개발 및 육성을 위한 학습의 촉진자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즉, 멘토는 한 사람의 생애관리와 설계를 지원해 주고, 심리적인 지원을 해주거나 도전적인 임무를 제공하고 경력관리와 관련된 조언을 해 주는 등 촉진자로서의 행동을 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와 기업 등 여러 조직에서는 학습의 촉진자로서 멘토의 역할을 다각적으로 공식화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학습과 자기계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직은 구성원들간에 멘토링을 하는 관계를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멘토링을 하는 사람은 역할 모델이 된다. 조직 구성원들은 멘토링을 하는 사람의 특질과 행동으로부터 조직이 원하는 행동과 가치를 전달받는 것이다.
기업내에서 경영관리자는 조직구성원 즉, 종업원의 멘토가 돼야 한다.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과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보람을 느끼고 헌신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있다.
또한 경영관리자는 일의 설계, 적절한 배치, 안정성과 근로조건 그리고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등 바람직한 조직문화의 관리자 내지 형성을 지원하는 리더로서, 또 다른 의미의 존경받는 ‘멘토’가 돼야 한다.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거나 조직의 일원으로 일하고 있는 경영관리자라면, 이제 이러한 ‘멘토’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자신이 ‘또 다른 멘토’로서 인정받고자 노력하고 있는지 자신과 주위를 한번쯤 둘러봐야 할 것이다.
조태현(한국금융연구원 자문교수)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