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산층 가구가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6년간 5% 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결과는 중산층의 소득 증가율이 국민 전체의 평균적인 소득 증가율보다 뒤처지기 때문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격차 등을 줄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최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중산층 가구와 소득의 변화 추이를 계산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전체 소득 분포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50~150%의 소득 가구를 중산층으로 정의했다.
가령 100가구에서 상위 50번째 가구의 소득이 연간 3천만원이라면 1천500만~4천500만원의 소득 구간에 있는 가구를 중산층으로 본 것이다.
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중산층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3년 60.4%였지만 지난해 55.5%로 4.9%포인트 줄어들었다.
중산층의 소득 합계가 전체 가구 소득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54.0%에서 48.1%로 5.9%포인트 줄어들었다.
실질 처분 가능 소득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평균 가구 소득이 2천846만원에서 지난해 3천55만원으로 7.4% 증가하는 동안 중산층 가구의 중간 소득은 2천581만원에서 2천664만원으로 3.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연구소는 기업 규모와 업종 등에 따른 임금 격차가 OECD 선진국보다 크고, 저임금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점이 중산층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