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의 74%를 처리하는 부산항의 위상이 점진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토해양부가 국회 국토해양위 현기환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 따르면 2009년 기준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74%를 취급한 부산항의 처리 비중이 2015년에는 62.9%, 2020년에는 57.6%로 감소한다.
환적 컨테이너를 제외한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에서도 부산항의 처리 비율은 2020년에 43.5%로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현재 아시아권 항로를 오가는 선박은 부산항과 광양항 외에 인천항 등 다른 항만도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유럽과 미주 등 동서항로와 남미와 아프리카 등을 잇는 남북항로의 선박은 부산항과 광양항에만 입항이 가능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에도 입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 포함됐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컨테이너의 경우 인근 항만에서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물류 왜곡 현상이 발생해 이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입물동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수도권 화물은 2020년까지 항로별로 배분되고, 수도권 전체 수출입 물동량의 73.6%가 인천항(58.6%)과 평택·당진항(15.0%)으로 몰리게 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