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모 대학 교수가 일간지에 기고한 글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제자에게 중소기업을 소개했다가 퇴짜를 맞았다는 내용이 소개된 적이 있다.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이유가 월급이나 처우의 문제가 아니라 ‘결혼에 지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중소기업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잘 보여주었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중소기업의 위상을 여실히 보여준 한 가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기피현상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임금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고, 우리사회의 중소기업에 대한 편견도 한 몫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의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지원책은 크게 부족한 상항이다.
실제로 중소기업들이 당장 가장 큰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야가 자금과 영업의 문제라면 우수인력 확보의 문제는 더 근본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여러 자원들 중에서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것이 인적자원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중소기업들이 대기업들과의 격차를 줄여가면서 현재의 위기를 타파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인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의 ‘2010년 과학기술 통계백서’에 따르면 2000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우리나라 연구원 수(FTE기준)는 118% 증가한데 비해 미국이나 일본의 연구원 수 증가는 10%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발표됐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산업 경쟁력이 그 만큼 높아진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업에 근무하는 연구원 21만명중에서 대기업에 근무하는 연구원이 51.4%이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각기 26.2%와 2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대기업의 수가 3000개 안팎이고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의 수가 300만개 이상임을 고려하면 우수인력 편중이 매우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편중현상은 매우 근소한 차이기는 하나 매년 줄어들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젊은이들에게만 도전정신을 강요할 수 없는 것이 지금 우리의 엄연한 현실이다. 현재 중소기업이 연구원을 신규 채용하게 되면 기업에 여러 가지 형태의 혜택을 주고 있다.
그러나 연구인력을 채용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연구원들에게도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방법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채용되는 연구원의 경우 자기계발 비용을 지원해 준다거나 정부출연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연구원에게도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병역특례지정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을 더 크게 늘려주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퇴직금 등의 산정기초로 되는 평균임금에 일시적 성과급이 포함되지 않도록 해 임금지불의 유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업과 근로자의 필요가 일치해 장기 근속하는 근로자에 대해 정부가 주택공급, 자녀학자금지원, 휴양시설 등 복리후생 측면의 지원을 확대하는 것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으로 성장한 기업들에서 우수인력에 대한 투자가 선행됐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도 핵심인력에 대해서는 획기적인 보상제도를 제공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회사의 어려운 사정으로 인해 우수한 인력의 확보를 포기한다면 더 이상 그 기업은 미래가 없기 때문이다.
이번 주는 23회 중소기업주간이며 이 기간 동안 ‘함께하는 중소기업, 더 큰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진다. 이러한 구호들이 공허한 메아리가 되지 않도록 좀 더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경수
(주)셀트리온 화학연구소 대표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