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중소기업 영역을 침범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MRO(소모성 자재 구매대행)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이익을 내지 않는 사회적 기업으로 탈바꿈시키기로 하는 등 대책을 속속 내놓고 있다.
이달 초 삼성은 MRO 업체인 아이마켓코리아(IMK)의 삼성 계열사 지분 58.7%를 처분하고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히고 후속 절차를 밟고 있다.
삼성은 미래전략실 주도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골드만삭스를 매각 주간사로 선정해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인수 의향을 타진하는 등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화는 이미 지난 6월 MRO 회사인 한화S&C의 사업 철수를 결정하고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 당국에도 통보한 상태다.
SK는 산하 MRO코리아를 연매출 1천억원대의 국내 최대 사회적 기업으로 바꾸겠다고 최근 발표했다.
사업 철수가 아니라 회사의 성격을 바꿔 사회에 이바지하겠다는 것이다.
SK는 MRO 사업 처리 방안을 놓고 여러 대안을 검토한 결과, 대기업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기업화가 최적의 대책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MRO 업체인 엔투비가 이윤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포스코는 “엔투비는 경쟁사와 달리 대기업과 거래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3천여곳으로부터 MRO 자재를 공급받아 포스코와 계열사 등에 일정 수수료(2~2.5%)를 받고 자재 구매를 대행해주기 때문에 중소 공급사의 납품단가를 무리하게 낮춰달라고 요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LG도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는 대로 그 방향에 맞춰 서브원의 지배 및 경영 구조를 개편하겠다는 입장이다.
중소기업계는 대기업의 이런 행보를 일단 환영하면서도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 관계자는 “무분별한 MRO 사업 참여가 부당하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지만, 어차피 대기업으로 남는데 소상공인에게는 달라질 것이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삼성 IMK의 경우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에 부응한다는 취지에 맞추려면 중소기업 유관단체나 협회, 관련 중소기업이 지분을 사들여야 하지만 삼성 계열사의 IMK 지분이 5천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실효성이나 진정성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