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은 허리가
신문지를 모으고 빈 상자를 접어 묶는다
몸뻬는 졸아든 팔순을 담기에 많이 헐겁다
승용차가 골목 안으로 들어오자
바짝 벽에 붙어 선다
유일한 혈육인 양 작은 밀차를 꼭 잡고

저 고독한 바짝 붙어서기
더러운 시멘트벽에 거미처럼
수조 바닥의 늙은 가오리처럼 회색 벽에
낮고 낮은 저 바짝 붙어서기

차가 지나고 나면
구겨졌던 종이같이 할머니는
천천히 다시 펴진다
밀차의 바퀴 두 개가
어린 염소처럼 발꿈치를 졸졸 따라간다

늦은 밤 그 방에 켜질 헌 삼성테레비를 생각하면
기운 싱크대와 냄비들
그 앞에 서 있을 굽은 허리를 생각하면 목이 메인다
방 한 구석 힘주어 꼭 짜 놓았을 걸레를 생각하면

-김사인 시, 「바짝 붙어서다」전문-

시의 행간을 읽기 전에 벌써 목이 메이고 울컥해집니다. 요즘 골목이나 거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입니다.
‘굽은 허리가 신문지를 모으고 빈 상자를 접어 묶는’ 팔순 독거할머니, 유일한 혈육이 작은 밀차라니요? 승용차가 좁은 골목 안으로 들어오면 할머니의 몸은 폐지처럼 구겨져 벽에 바짝 붙어 섰다가 다시 펴집니다.
늙은 가오리처럼 바짝 붙어서기를 반복하며 온 종일 골목을 돌아다녀도 하루에 단돈 몇 천원을 손에 쥐는 것이 고작인 할머니의 동행은 염소처럼 발꿈치를 졸졸 따라다니는 밀차의 바퀴뿐입니다.
시인은 ‘밀차’라고 표현하였지만 실제는 쓸모없어 버려진 유모차 일 것입니다. 굽은 허리와 부실한 무릎을 지탱해주며 또한 폐지와 빈 상자를 실을 수 있도록 대충 얼기설기 개조한 것이지요.
자식을 키울 때, 사랑스런 손주를 키워줄 때 할머니가 밀었던 유모차가 이제는 구깃구깃한 폐지와 철지난 신문지를 수집하는 유일한 혈육이 되었습니다.
염소처럼 뒤따르는 밀차를 끌고 밤늦게 집으로 돌아옵니다. 온기 없는 방에는 헌 텔레비전, 낡은 냄비, 지친 육신을 힘주어 짜놓은 것 같은 걸레가 기다리고 있을 뿐이지요.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 심화되는 빈부의 양극화, 차츰 무너지는 경로효친사상, 핵가족 형태의 가족구조 등으로 소외노인과 빈곤노인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할머니의 처지가 우리의 미래일수 있다는 것입니다. 할머니가 바짝 붙어 설 곳은 차가운 시멘트벽이 아니라 따뜻한 우리 곁입니다. 낮게 내리는 고독한 수조바닥이 아니고 온기 가득한 우리의 품입니다.

- 이병룡 시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