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서 30년 이상 사무용 가구를 제조하면서 세금만도 몇 십억원을 냈고,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에 공헌했지만, 공공구매에서는 찬밥 신세입니다.”
인천지역 영세한 사무가구 제조업체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시청, 학교 등 공공구매 조달시장에서 약 95% 가까이를 타지역 업체들이 차지하고, 규모 있는 몇몇 업체들이 공공기관의 납품물량을 몽땅 다 가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 송도 신도시에 들어오는 각 대학들은 퍼시스, 리바트 등의 타지역 브랜드제품을 구매했다.
특히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의 타지역 브랜드 선호와 매출실적 제한으로 인해 인천지역 가구업체들은 입찰 참가자격 조차 받지 못하고, 타지역 업체보다 차별을 받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인천가구제조협회를 만들고 지난달 26일 인천의 한 식당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협회장을 맡은 A업체 L대표는 판로지원법을 개정, 영세한 소기업·소상공인 제품을 우선구매할 수 있는 길이 생겼지만 실제로는 규모 있는 몇개 업체의 독과점 현상은 해소되지 않고 있어 1000만원짜리 지역발주 조차 지역업체들은 납품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에 따라 L대표는 소기업·소상공인의 조달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 △지역업체에 대한 가산점 △지명입찰제 도입 △아시안게임 등 가구물품 구매시 30% 할당 △인천 향토산업으로서 가구산업 육성 등을 적극 추진해줄 것을 인천시청에 요청했다. 
학교에 사무용품을 납품하는 한 업체 대표는 ‘학교장터’로 인해 영세한 가구업체는 발 디딜 틈 없이 죽어가고 있다고 호소했다. 대·중견기업 등 규모에 제한없이 학교에 납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세한 지역업체들은 더 이상 인천에서 사업하기가 어렵다는 것.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종환 중소기업중앙회 인천지역본부장은 “인천지역은 목재부터 시작, 가구원부자재에 이르기까지 ‘가구산업 메카’라고 할 수 있다”며 “영세한 지역 가구업체들이 공공구매 시장에서 타지역 업체들 보다 차별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가구산업을 인천 고유의 향토산업으로 재조명, 적극적인 육성대책 마련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