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입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자율주행 자동차’ 등 13개 기술을 유망 신산업으로 선정하고 5년간 약 10조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지난 19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4~2018년)을 발표했다.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 포함된 13개 대형융합과제는 △입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자율주행 자동차 △고속·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극한 환경용 해양플랜트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국민 안전·건강 로봇(이상 시스템 산업)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 시스템 △저손실 직류 송배전 시스템(에너지 산업) △탄소소재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소재·부품 산업)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나노 기반 생체모사(인공장기) 장치 △가상훈련 플랫폼(창의 산업) 등이다.
산업부는 이번 대형융합과제 추진이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제조업에 신기술, ICT(정보통신기술), 서비스 등을 융합하는 핵심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창출·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 산업의 총 시장 규모는 현재 약 7354억달러지만 오는 2023년에는 4조425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이라는 게 산업부의 판단이다. 정만기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3개 과제를 중심으로 세계 시장의 1%만 점유해도 상당한 시장 선점 효과가 있을 것”라고 말했다.
산업부와 기획재정부는 향후 5년간 17~18조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하기로 했다. 통상 대형 전략과제에 R&D 예산의 약 40%가 투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13개 대형융합과제에 7~10조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여기에 기업이 매칭펀드 방식으로 참여하면 전체적으로 수십조원의 예산이 형성된다.
산업부는 대형융합과제 중 일부 세부 과제는 2014년 상반기중 예비 타당성 조사를 거친 후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응용 범위가 넓고 파급 효과가 큰 대형융합과제를 중장기적(5~10년)으로 추진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중소기업이 기술중개기관의 기술을 구매할 수 있도록 ‘기술 사업화 바우처 제도’(기업당 연 5000만원)를 도입하기로 했다.
창의·도전형 산업기술 R&D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외국의 우수 공학인의 참여가 확대(1000명)되는 등 전문 평가인력이 확충되며 2015년에는 ‘산업기술 진흥 및 사업화 촉진 기금’이 신설돼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R&BD) 지원이 확대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