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옥 회장

“지방조합 지원시스템 구축에 최선”
“연합회 산하 10개 지방조합에 대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구자옥 한국기계공업협동조합연합회 신임 회장은 “협동조합연합회의 존재가치를 재정립할 때”라며 지방조합에 대한 지원을 강조했다.

구자옥 회장은 그동안 대전충남세종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을 8년,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회장을 3년간 맡으며 지역 기계업계와 경제계 발전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여왔다.

구 회장은 “지난 2007년 협동조합의 단체수의계약제도가 폐지될 무렵부터 지방조합 이사장직을 맡아 왔다”고 밝혔다. 단체수의계약이 존재하고 있을 때는 조합원사의 수입창출 기여도가 컸고 이에 따라 협동조합과 연합회의 위상도 높았으나 제도 폐지 이후 협동조합에 대한 업체들의 관심과 참여가 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 구 회장의 지적이다.

구 회장은 “기계연합회는 산하 10개 지방조합과 1700개 조합원이 속해있다”면서 “임기중 연합회에서 지방조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구 회장은 이를 위해 기계업계의 몇가지 현안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구 회장은 특히 직접생산확인제도의 강화를 강조했다. 구 회장은 “현재 직접생산확인 절차가 너무 완화돼 있어 전문업체들이 오히려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이의 개선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창업초기 기업의 조달시장 진입 지원을 위한 규제완화 차원에서 납품실적증명이 폐지됐는데 이게 오히려 전문업체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는 것. 구 회장은 “납품실적 증명은 전업률과 전문성을 증명하는 것이었는데 이게 폐지되면서 타 업종에서 영역을 침범해 기존의 전문업체들이 하도급·하청업체로 전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 회장은 생산품목, 산업분류가 다르면 인원과 시설을 별도로 두도록 하고 소규모 업체의 경우 창업 3년간 납품실적을 면제하는 등의 개선책을 제시했다. 또 연합회 차원에서 하도급신고센터를 운영, 조합원사가 익명으로 신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연합회에서 확인과 조사를 거쳐 중기중앙회에 통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 회장은 이와 함께 현재 논의되고 있는 소기업 범위 개편 역시 기계업계의 현실을 외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구 회장은 “현행 기준이 50인 이하인데, 기계업종 1인당 연매출이 평균 3억원임을 감안하면 매출기준 150억원 이상은 돼야하나 정부의 안은 70~80억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구 회장은 “소기업 범위는 일률적으로 확정하면 안된다”며 “제품 단가가 높아 매출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기계업종의 특성을 무시한 기준이 확정되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구 회장은 “연합회에 공동상표가 7개 품목이 있지만 한도금액 제한으로 활성화가 어렵다”면서 “계약 건당 금액제한을 두지 말고 품목 당 연간 수요총액의 일정비율로 제한을 두고 조달청에서 관리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53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연합회의 연합회 존재가치를 재정립해 지방조합과 업계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지원에 나서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