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관련 통계가 나온 2008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급은 75% 수준이지만 각종 수당과 특별급여 비율은 대기업이 3배나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과 고동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시근로자가 300인 이상인 사업장의, 이른바 대기업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501만6705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3.9% 오른 규모다.

이 기간 상시근로자 5∼299인 사업장(중소기업)의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311만283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4% 상승한 규모다.

기본적인 급여 차이가 존재하는 가운데 인상률 역시 대기업이 높았다. 대기업 근로자의 임금 인상률은 2014년에 이어 2년째 중소기업보다 높았다. 2014년엔 대기업 상용근로자 임금이 5.3%, 중소기업은 2.4% 올랐다. 2013년 인상률은 대기업 3.6%, 중소기업 3.7%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중소기업의 임금 인상률이 대기업보다 낮아지면서 개선 조짐이 보였던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다시 커지고 있다. 지난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대기업 대비 62.0%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기업 근로자가 한달에 월급을 100만원 받는다면 중소기업 근로자는 62만원을 받는다는 뜻이다.

2009년 65.0%였던 이 비율은 2010년 62.9%, 2011년 62.6%로 떨어졌다. 2012∼2013년엔 64.1%로 올라섰지만 2014년 다시 62.3%로 하락했고 지난해에는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를 특히 크게 벌리는 요소는 정액급여(기본급)보다는 초과근로수당과 성과급 등 특별급여다. 기본급만 따지면 중소기업 임금이 대기업의 75% 수준이지만 초과·특별급여를 합치면 얘기가 달라진다.
지난해 대기업 근로자는 월평균 임금의 31.5%(158만원)를 초과·특별급여로 받았다. 기본급은 68.5%(344만원)를 차지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결국 중소기업의 성과급을 현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핵심인력 성과보상금’ 제도처럼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성과 공유 모델을 더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