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약 151만원으로 정규직 근로자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청장 유경준)이 지난달 2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은 평균 151만1000원으로 지난해보다 4만4000원(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의 월급은 12만3000원(4.5%) 올라 283만6000원이 됐다. 격차가 더 벌어진 셈이다.

올해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15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4000명(2.4%) 늘었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2.0%로 1년 전과 같았다. 비정규직 비중은 2011년 33.8%까지 올랐다가 작년까지 감소세를 이어왔다.

비정규직 중 시간제 일자리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1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근로자는 222만2000명으로 1년 새 13만1000명(6.2%) 증가했다. 시간제근로자 중 남자는 1만6000명 줄었지만, 여자는 14만7000명 늘었다.

기간제 등을 뜻하는 한시적 근로자는 357만7000명으로 16만명(4.7%) 증가했고, 파견·용역·특수고용 등 비전형 근로자는 213만8000명으로 1만명(-0.5%) 감소했다.

비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대가 22.0%로 가장 높았지만, 60대가 처음으로 20%선(21.7%)을 돌파해 50대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

반면 40대는 2014년(22.6%)까지 비정규직 비중 1위였지만 지난해 처음으로 50대보다 밑으로 내려갔으며 올해(20.7%)에는 60대보다도 비중이 작아졌다. 20∼30대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33.4%였다.

올 1∼3월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41만2000원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 임금 차이는 132만5000원이었다.

정규직 임금은 283만6000원으로 4.5%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151만1000원으로 3.0% 증가에 그쳤는데, 이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단순 비교하면 차이가 6.3% 더 벌어졌다.
그러나 통계청이 성별·연령·교육수준·근속기간 등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배제하고 산출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월평균 임금격차는 1년 전보다 1.4%포인트 줄어든 10.6%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임금지불 형태는 월급제가 62.7%로 가장 높았다. 정규직은 월급제(70.5%), 연봉제(22.1%)가 대부분이었지만 비정규직은 월급제(46.1%)에 이어 일급제(20.6%)가 많았다.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과 근로복지 수혜율은 대체로 상승했다. 사회보험 중 건강보험(1.1%p)과 고용보험(0.5%p)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가입률이 올랐고 국민연금(-0.4%p)는 내렸다.

근로복지 중 퇴직급여 수혜율(0.8%p)과 시간외수당(0.8%p), 유급휴일(0.5%p)은 상승했지만 상여금(-0.7%p)은 하락했다.
평균 근속기간은 정규직이 7년5개월로 2개월 늘어난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전과 같은 2년5개월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