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이 서비스업의 호조로 전 분야에서 크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른 지역과 뚜렷한 대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선·해운 분야 구조조정의 여파로 경남·울산 지역 경기는 악화되는 분위기다.

지난 18일 통계청(청장 유경준)이 발표한 ‘올해 2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울산지역 백화점·대형마트의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감소해 전국에서 가장 감소 폭이 컸다. 

경남지역은 대형마트·백화점을 포함한 전체 소매판매가 같은 기간 1.2% 늘어나는 데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울산·전북지역 서비스업 생산은 전문과학기술, 협회·수리·개인서비스 등의 부진으로 전국 평균(3.7%)에 못 미치는 1.6%, 2.2% 증가하는데 그쳤다. 울산·경남·전북은 조선소가 밀집해있어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경남·울산지역 취업자 수는 각각 전국 평균(1.1%) 내외인 0.6%, 1.2% 증가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고용은 생산·소비 등 지표에 후행하는 경향이 있어 앞으로 지표가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제주 관광객 유입 효과 커
반면 제주지역은 대부분 지표에서 다른 지역과 대비되는 고속성장을 이어갔다. 광공업생산, 소매판매, 취업자 수 등에서 다른 지역과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유지하며 전국 평균 상승을 이끌었다.

광공업생산 지수 증가율은 같은 기간 전국 평균(1.0%)을 크게 상회한 17.2%를 기록했다. 소매판매액 지수 증가율도 경남지역의 10배가 넘는 13.2%를 기록했고 취업자 수 증가율도 6.2%로 2위인 인천(2.5%)과 큰 차이를 보였다.

제주도는 외국 관광객뿐만 아니라 내국인의 선호도 좋아지면서 부동산 시장도 뜨는 분위기다.
서울 지역의 경우 광공업 생산(9.5%)·서비스업 생산(4.3%), 소매판매(6.5%)는 증가세가 확대됐지만 수출(-0.4%)은 감소로 전환됐다. 특히 서울 인구는 올해 2분기 3만4680명이나 줄었다.

서울 인구는 2009년 2월 2300여명의 순유입을 기록한 이후 7년 넘도록 순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주민등록인구 대비 순이동인구를 나타내는 서울 인구의 순이동률은 -0.35%로 전국에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30~34세가 5577명, 35~39세가 5131명으로 나란히 1, 2위를 차지해 30대 중심으로 인구가 줄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1분기 증가세로 전환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인구도 같은 기간 4202명 줄어들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물가 증가율 서울·부산이 최고
산업별로 살펴보면 광공업 생산은 세종(-8.1%), 강원(-7.8%), 부산(-6.7%) 등은 감소했지만 제주·전남(16.0%), 서울(9.5%) 등이 화학제품·선박·영상·음향기기 등의 호조로 증가하면서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도소매 등의 호조로 제주(8.7%), 대전(4.4%), 강원(4.4%)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소비자 물가는 음식·숙박, 교육 등의 가격이 오른 서울(1.3%)·부산(1.0%)이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 0.2% 상승했다. 건설수주는 건축·토목이 모두 부진을 보이면서 8.5% 감소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