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가운데 부산항 신항 부두에 접안한 컨테이너선에서 분주하게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지난달 수출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2% 늘며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교역 확대에 따른 온기가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소매판매지수는 뒷걸음질치고, 제조업 가동률은 18년만에 최악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석유화학이 수출 주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1월 수출이 403억달러, 수입은 371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2%, 18.6%씩 증가했다고 최근 밝혔다.

우리나라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것은 2013년 1월 이후 4년 만이다. 지난달은 설 연휴가 낀 데다가 전년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부족했음에도 애초의 예상치인 7%대를 훌쩍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최악의 수출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더불어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 급증,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화학제품 수출 호황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하루 평균 수출증가율은 16. 4%로 2011년 8월 이후 5년 5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수출물량은 5.2%, 원화 표시 수출은 9.7% 늘어 각각 2016년 4월과 2012년 2월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스마트폰 탑재용량 증가와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사상 최대인 64억달러의 실적을 거뒀다.

석유화학제품 수출액은 제품수출단가 상승과 생산능력 확대에 힘입어 2014년 12월 이후 가장 많은 35억달러를 기록했다.

평판 디스플레이(DP)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지속 증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2013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20.8%의 증가율을 보였다.

하지만 최근 수출 증가는 반도체·석유화학·디스플레이 등 일부 품목에만 의존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통적으로 ‘수출 한국’을 이끈 휴대폰(-17.8%), 선박(-17.5%), 가전(-16.1%)은 큰 폭의 수출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베트남, 동아시아국가연합(ASEAN),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인도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고, 중동 수출은 증가로 전환됐다.

우리나라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수출은 13.5%로 3년 5개월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함으로써 우리 수출이 완연한 회복세를 시현했다”고 평가했다.

소비는 두달 연속 마이너스
수출에는 봄볕이 들고 있지만 내수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어 있다. 국내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지수(2010년을 100으로 산정)는 지난해 10월 121.5였지만 이후 121.4(11월)→119.9(12월) 순으로 계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소비 심리도 위축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지난 1일 통계청(청장 유경준)이 발표한 ‘2016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전반적으로 지난 1년 동안 수출과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생산·소비·투자 등 이른바 ‘트리플 침체’가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경기부진 장기화의 여파로 지난해 우리나라 제조업의 평균가동률도 72%선으로 주저앉으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18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가동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에도 70%대 중반(74.4%)을 유지했고, 이어 2010~2011년에는 80%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연간 설비투자는 2013년 이후 3년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런 현상은 설비투자에도 나타났다.

지난해 설비투자지수는 전년대비 1.3% 감소, 2013년(-0.8%) 이후 3년만에 마이너스를 보였다.
설비투자가 2014년 5.2%, 2015년 6.3%에서 급추락한 것으로,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자 기업들이 허리띠를 바짝 조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내수침체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이후 보호무역주의 바람이 거세게 불면서 대외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돼 수출 증가세를 낙관하기 어려운 가운데, 국내적으로는 탄핵정국이 정점으로 치달으면서 정책 추진력이 떨어져 당분간 험난한 여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