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중국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남아국가 등 신흥 지역으로 수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세청(청장 천홍욱)과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의 중국 수출은 225억달러(약 26조600억원)로 전년보다 1.9% 늘었다.

中企, 중국 보호무역 체감도↑
중국 수출 비중을 보면 중소기업은 총수출액 가운데 중국이 22.6%로, 대기업(26.5%)보다 3.9% 포인트 낮았다.

중국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를 문제 삼아 관광과 한국산 소비재 등에 보복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한국과 중국에 상호보완적인 부품·소재 등을 주로 중국에 수출하고 있어 피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작다.

지난해 중소기업의 중국 수출 가운데 반제품과 부품 등 중간재(61.5%), 설비류 등 자본재(23.0%)는 합쳐서 84.5%나 됐다. 소비재는 13.8%로 비중이 작았다.

하지만 한류 영향으로 중국에서 인기를 끄는 일부 분야에서는 중소기업도 중국 의존도가 크게 높았다.
중소기업 품목별 수출 비중을 보면 화장품에서는 중국 수출 비중이 37.4%나 됐으며 패션 의류도 21.2%로 높았다. 농수산품(22.8%)과 생활용품(18.7%), 의약품(16.3%)도 중국 의존도가 높았다.

중소기업들은 중국의 보호무역주의를 체감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1∼2월 중국에 수출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보호무역조치에 대한 중소기업인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드 배치 발표 이전 중국과 거래하는 중소기업 가운데 5.3%만 보호무역조치를 경험했다고 대답했으나 발표 이후에는 26.0%가 ‘그렇다’고 답해 20.7%포인트나 늘었다.

정부, 中 대응 TF 운영나서
중기청은 중소기업이 사드 경제 보복과 같은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지난해 세계 주요 지역별 중소기업 수출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이 22.6%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11.5%), 일본(9.7%), 유럽연합(EU, 5.1%)이 그 뒤를 이었다.

중기청은 국외 전시회 등을 통해 중소기업 수출시장 개척을 돕고 있으며 이란,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페루, 멕시코 등 전략시장국가에 기술교류센터도 신설해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드 경제 보복을 당하는 중소기업을 확인하고 지원하고자 중국대응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사드 사태와 관련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신청요건에 ‘보호무역 피해기업’을 추가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예산을 현행 750억원에서 1250억원으로 500억원 확대할 계획이다.

홍성철 중소기업연구원 전문위원은 “중국은 정부의 시장 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한국 수출 기업에 항상 위험이 있었다”면서 “이번 사드 경제 보복 사태로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 문제가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아세안이나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 지역으로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수출 품목도 늘리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