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인수합병(M&A)이 급증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의 제조업 M&A 시장은 규모도 작고 해외 기업을 인수하는 국경 간 M&A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獨 307%·中 257%·美 107%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18일 발표한 ‘제조업 M&A의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16년까지 국내 제조업의 M&A 거래금액은 2011∼2013년 3년간 거래금액보다 29%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전 세계 제조업 M&A 시장은 115% 증가했고, 독일은 307%, 중국은 257%, 미국은 107% 늘었다.

주요 국가에 비해서도 우리나라 M&A 규모는 작은 편이다. 건당 평균 금액도 한국은 3%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독일은 289% 증가했고 중국(231%)과 미국(88%)도 많이 늘어나 M&A가 점점 대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제조업 회사들은 주로 금융사를 인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조업이 2014~2016년 인수한 업종은 금융업이 이전 3년 대비 678.8% 증가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자동차·유통·식품·섬유 등 경기순환형 소비재 175.1%, 기술업종 12.7%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제약·음식업 등이 포함된 비경기순환형 소비재 기업을 인수한 경우는 36% 감소했으며 건설·전기전자·항공·기계 등 제조·상사 업종의 M&A도 25.4% 줄었다.

일본은 M&A 업종의 약 60%가 비경기 소비재와 제조·상사업에 집중돼 있다. 독일의 경우 기초소재가 56.%로 절대적이며 여기에 경기·비경기 소비재까지 합하면 약 90% 수준에 이른다.

4차 산업혁명 관련 M&A도 저조
4차 산업혁명 관련 업종의 M&A도 중국은 2011∼2013년과 2014∼2016년을 비교할 때 1215%가 늘었고, 독일(273%)과 미국(233%), 일본(97%)도 많이 증가했지만, 한국은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역별로 봐도 한국 제조업은 해외 기업을 인수하는 국경 간 M&A 비중은 33.7%로 낮은 수준이었고, 국경 간 M&A를 하더라도 주로 아시아태평양과 신흥국 지역에 집중돼 있었다. 반면 일본(65.6%)이나 독일(96.3%)은 해외 기업을 사는 비중이 더 컸다.

“금융·세제 지원, 규제 완화 필요”
연구원은 제조업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사업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M&A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제조업 고유의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는 수단으로서 M&A를 활성화하는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며 “기존 주력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제4차 산업혁명 대비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M&A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 및 세제 지원, 규제 완화 방안 등을 마련해 M&A 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며 “제조 혁명을 정책적으로 강화중인 중국, 독일, 일본 제조업의 M&A 동향을 파악하고, 해외 우수 업체를 선점하는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