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2030년까지 휘발유차와 경유차를 퇴출하고 100% 전기차만 판매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거듭 강조하면서 기업들도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인도 언론들에 따르면 니틴 가드카리 장관은 지난 7일 인도자동차제조협회(SIAM)가 주최한 행사에서 자동차 회사들에 청정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강조하며 2030년까지 인도에서 전기차만 판매되도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재강조했다.
가드카리 장관은 “휘발유, 경유 등 기존 화석연료의 대안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면서 “이를 (정부가) 기업에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밀어붙일 것”이라고 말해 정부의 의지를 드러냈다.
인도 정부는 이미 지난해 피유시 고얄 석탄·석유·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이 ‘2030년까지 100% 전기차’라는 정부 목표를 밝힌 바 있으며 올해 안에 이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정부가 전기차로 빠른 전환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역적자와 환경문제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도는 해마다 2억톤 안팎의 원유를 수입해, 세계에서 세번째로 많이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2013 회계연도에는 원유 수입액만 1430억달러(약 162조원)를 기록했다. 또 인도에서 한해 120만명이 대기오염과 연관돼 사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올 정도로 환경문제가 극심한 가운데 급증하는 자동차도 오염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된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지난해 생산된 지 10년이 넘은 경유차는 수도 뉴델리에 등록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들에 대한 규제를 점점 강화하고 있다. 반면 전기차에는 지난 7월 상품서비스세(GST)를 시행하면서 부가세율을 대폭 낮춰 12%를 적용하는 등 혜택을 주고 있다. 기존 휘발유·경유차는 소형차도 최소 29% 세율을 적용받으며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은 최고 50% 세율이 적용된다.
인도 내 자동차 기업들은 이 같은 정부 방침에 맞춰 빠르게 전기차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 쌍용자동차 대주주인 마힌드라 그룹은 이미 2010년 벵갈루루에 있는 레바 전기차를 인수했으며 지난해 10월 1회 충전으로 최대 140㎞ 주행 가능한 도심형 전기차 ‘e2o 플러스’를 54만6000루피(약 968만원)에 출시했다. 마힌드라 그룹은 또 지난 5월 전기차 생산량 증대, 충전 인프라 확충, 신기술 투자 등을 내용으로 한 전기차 개발 로드맵 ‘EV 2.0’을 발표하기도 했다.
현대자동차도 애초 하이브리드 차량을 전기차에 앞서 인도 시장에 선보이려던 계획을 철회하고 전기차를 인도 시장에 조기 투입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다. 지난 7월 GST를 시행하면서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와 같은 세금혜택을 받지 못하고 고급 휘발유·경유차와 비슷한 43% 부가세율을 적용받도록 정해졌기 때문이다.
현대차 인도법인 관계자는 “인도 정부의 전기차 강조 방침에 맞춰 전기차 조기 투입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어떤 모델을 어느 시점에 인도에 선보이는 것이 좋을지 시장 상황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