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 유통브랜드 다이소의 영향으로 전국 문구점 10곳 중 9곳 이상의 매출이 하락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 문구 관련 단체들은 ‘한국문구인 미래혁신위원회’를 발족, 다이소로 인한 피해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찬열 의원에 따르면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동재) 등 국내 문구 관련 단체 3곳에서 전국 459개 문구점을 대상으로 진행한 ‘다이소 영업점 확장과 문구업 운영실태 현황’ 조사 결과 다이소 영향으로 매출이 하락했다고 답한 문구점은 92.8%에 달했다. ‘매우 하락했다’가 48.1%로 가장 많았고‘운영 위기 수준’이라는 응답도 8.1%에 달했다. ‘전혀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5%에 불과했다.
매출이 하락한 주요 상품군(복수응답)은 학용품(52.9%), 생활용품(29.6%) 등이었다. 절반에 가까운 46.6%의 업체는 다이소 입점 후 매출 하락 때문에 매장을 계속 운영할지 고민이라고 답했다. 업종을 변경하거나 폐업하겠다는 답도 각각 4.4%와 5.2%였다. 조사 대상 문구점의 77.8%는 다이소가 앞으로 생활용품 전문점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에 △카테고리 품목 제한 △생활전문매장으로 점포 평수제한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적합업종 지정 △문구업종 카드수수료 인하 등을 건의했다.
문구업계는 규모의 경쟁에서도 다이소에 밀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이소와 문구점이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500m 이내’이라는 대답이 60%에 달했다. 이 가운데 ‘100m 이내’라는 응답은 21.8%였다.
인접한 다이소 규모는 330~992㎡이 79.7%였으나, 문구점은 69.5%가 99~330㎡이었다. 문구점이 330㎡을 넘는 경우는 13.3%에 불과했다.
다이소의 빠른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문구업계는 “다이소가 골목상권을 침해해 생존을 위협한다”고 주장해왔다.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1조5600억원으로 국내 기업형 슈퍼마켓 3위인 GS슈퍼마켓(1조4244억원)을 넘어섰으나 유통산업발전법 규제 대상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점포를 낼 수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