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십년 동안 경제발전의 시대를 거쳐 오면서 석탄은 온국민의 안방을 따뜻하게 지켜오는 한편, 우리 강산의 산림을 푸르게 변화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미세먼지 대책으로 석탄발전소를 주요 대상 중 하나로 삼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정부는 지난 7월 내놓은 국정과제에서 신규 석탄발전소 건립중단, 30년 이상 노후 석탄발전소 임기 내 폐쇄와 함께, 공정율 10% 미만인 신규 석탄발전소 9기를 천연 LNG 발전소로 전환한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온실가스 감축과 미세먼지 저감이라는 국가적 목적도 있겠지만 석탄발전의 지나친 감소는 상당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니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특히 국내발전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된다. 흔히 청정연료로 알려진 천연LNG는 열량당 가격이 석탄보다 3배, 발전비용은 2배 가량 높다.
국내 발전에서 석탄점유율이 약 40%, 원자력이 약 30%에 달하니 석탄과 원자력이 천연LNG나 신재생에너지로 대체된다면 대폭적인 전력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전력소비가 많은 뿌리산업 등 중소기업의 대내외 경쟁력이 크게 낮아질 수밖에 없다
현 시점에서는 석탄발전의 역할을 재정립시켜 신재생에너지와의 공존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의견이다.
먼저 석탄의 환경오염 측면에서의 정확한 책임과 발전연료로서의 우위성을 제대로 국민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석탄비중의 감소가 OECD 선진국 전반의 추세이긴 하지만 이들과 달리 우리처럼 해운으로 도입해온 천연가스LNG는 단가가 높아 일본에서는 최근 석탄발전비율이 11%나 높아졌다.
2000년 이후 세계기후변화협약이행이 있었으나 현재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 역시 여전히 석탄이 주요 발전원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세계경제가 불황이고 최근 국제유가가 급등락으로 지금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나 국내 석탄광산의 특성상 광산이 한번 문을 닫으면 앞으로 수백년이 지나지 않는 한 재개발이 불가능하다.
이런 까닭에 때를 놓치면 국내 유일의 에너지자원이라 할 수 있는 석탄 부존자원이 사장되고 만다는 사실에 우리 모두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탈원전·탈석탄 정책이 동시에 급격히 추진되면 장기적으로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정부는 석탄이 국내 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면밀히 분석해 장기적인 대책을 차분히 세워가야 할 것이다.

- 글 : 이기호 (대구경북연료공업협동조합 상임이사)
- 일러스트레이션  신영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