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가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곡물·채소 등 농산물과 석유 제품 등 일상과 밀접한 품목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져 가계 부담을 키우는 양상이다.

정부는 전체 물가가 물가안정목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지만, 국제유가 변동성이 우려되는 만큼 생활물가 관리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통계청이 최근 공개한 ‘2018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2(2015년=100)로 지난해 10월보다 2.0%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9월 2.1% 이후 13개월 사이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하다 13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이에 대해 “석유류, 곡물, 농축산물의 가격 상승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산물이 14.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3%포인트 끌어올렸다. 채소류 물가는 13.7% 상승했다. 지난해 8월 22.5% 오른 후 1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이다. 쌀(24.3%), 토마토(45.5%), 파(41.7%), 무(35.0%) 고춧가루(18.8%)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석유류는 11.8% 올라 전체 물가를 0.53% 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석유류는 올해 6월부터 5개월째 10%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휘발유는 10.8%, 경유는 13.5%,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는 11.0%, 등유는 15.9% 상승했다.

반면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0.9% 올랐다. 이는 2000년 2월(0.8%) 이후 가장 낮은 오름폭이다.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의 상승률은 6월 1.2%에서 7∼9월 1.0%를 기록했다가 10월 0%대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은 1.4∼1.5%대에서 2%대로 껑충 뛰었다. 그만큼 전체 물가지수와 근원물가지수 괴리가 추세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근원물가는 수요 측면에서 물가를 볼 수 있는 지표로, 이 지표가 내린다는 것은 소비 심리나 경기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체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소비자가 지갑을 열기 때문이 아니라 공급 가격이 오르며 물가가 오른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국제유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오름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농산물 수급가격 안정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유류세 인하 효과도 조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생활물가 관리 노력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