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위원회 의결…환경측정·분석사 등 전문직으로 고용 유도
디자인 혁신 유망기업 240개소 추가 선정, 컨설팅·시제품 맞춤지원

지난 3일 열린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2차 일자리위원회’에서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지난 3일 열린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2차 일자리위원회’에서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정부가 환경과 디자인 분야 산업 육성을 통해 2022년까지 55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지난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12차 회의를 열어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디자인 주도 일자리 창출 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미세먼지·폐기물 해결일자리도 창출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은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환경과 일자리 문제를 동시에 잡는다는 구상이다.

이 방안은 청년이 도전하는 전문 일자리 창출 환경 현안 해결형 일자리 창출 환경산업 육성을 통한 신규 일자리 수요 창출 환경 일자리 인프라 강화 등 4개 분야로 나눠 추진된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올해 9000, 내년 13000, 2021202228000개 등 전문성, 환경성, 성장성이 좋은 환경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선 통합 환경 컨설턴트’, ‘미세먼지 예보·분석’, ‘환경 측정·분석사등 전문적인 환경산업 일자리를 제도화하기로 했다.

환경 측정·분석사의 경우 환경 측정 업체의 채용을 의무화함으로써 청년이 지속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로 만든다는 것이다.

일례로 20207월 환경시험검사법이 시행되면 환경측정분석사 채용이 의무화돼 520개 이상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또 안정적인 폐기물 관리를 위해 재활용 산업을 지원하고 소각·매립 시설과 같은 폐기물 관련 사회간접자본(SOC)을 확충하기로 했다.

재활용 비축기지나 국가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등 폐기물 기반시설 확충, ‘붉은 수돗물예방을 위한 전국 지방상수도 스마트시스템 구축, 땅 꺼짐 사고 예방을 위한 노후 기반시설 정비 등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계획도 포함됐다.

물 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물 산업 육성 서비스, 도시 지역 생태계 복원 사업 확대, 드론 등을 활용한 오염원 감시 사업 등을 통해서도 일자리를 창출한다.

환경부는 친환경차 보급 및 설비 구축, 미세먼지 저감 유망기술 실증화 사업 지원 등을 통해서도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디자인학과에 공학·경영학 접목

디자인 주도 일자리 창출 방안은 소비재 분야 디자인 혁신 유망 기업을 발굴해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 전문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고령화를 포함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청년 디자이너 일자리도 만들어낼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소비재 분야 디자인 혁신유망기업에 대한 지원을 올해 30개에서 내년 60개로 늘리기로 했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총 240곳의 디자인 혁신유망기업을 추가 선정해 디자인 컨설팅·시제품 등을 맞춤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6월 서울 구로에 설치한 디자인 주도 제품개발센터를 경남 창원, 경기 반월시화 등 기업밀집 지역 두 곳에 추가로 구축해 납품 위주의 위탁생산 기업도 자체상품 개발을 통해 소비재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돕는다.

자체 디자인 기획능력이 약한 중소 제조기업에 우수 디자이너를 파견하는 사업을 올해 40명에서 내년 80명으로 늘린다.

이와 함께 전문 교육기관과 수요기업이 함께 중소기업 재직자·미취업자를 대상으로 내년부터 연간 200명씩 4차산업 관련 기업 현장에 필요한 실무중심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성장과 혁신, 공공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촉진함으로써 2022년까지 약 5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일자리위원회는 이날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한 문화서비스 일자리 창출 방안지역 고용정책 개선 방안도 의결했다.

정부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확산으로 문화 수요가 커지는 추세에 맞춰 문화 분야 사회적기업을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 중앙정부 주도의 하향적 일자리사업과 달리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지역 중심의 상향적 일자리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자리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는 문화, 환경, 디자인 등 그동안 회의에서는 다뤄지지 않았던 새로운 분야의 창의적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