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이달부터 2023년까지 성과 검증·확대…AI·IoT접목, 전력 효율성 극대화

 

전기 공급자와 생산자들에게 전기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전기공급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일명 스마트그리드가 광주와 서울에서 구현된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가 구현되는 체험단지를 광주 8000가구와 서울 3000가구 규모로 각각 조성하고 이달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접목해 전기 사용량과 공급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가 주고받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생산자는 생산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소비자는 요금이 비싼 시간대를 피해 전기를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증단지에서는 생활패턴과 빅데이터를 고려한 선택형 전기요금제를 도입한다. 휴대전화 요금처럼 각자 전력 소비 방식에 맞춰 다양한 요금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A씨는 전기재판매사업자 B가 제공하는 계절별·시간대별(계시별) 요금제 등에 가입한 후 스마트폰 앱으로 스마트 세탁기를 가동시켜 자신만의 전력사용 패턴을 만들고 전기요금도 절약하는 식이다. 계시별 요금제(TOU·Time Of Use)는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로 전기를 적게 쓰는 경부하 시간대에는 낮은 요금, 가장 많이 쓰는 최대부하 시간대에는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요금제다.

산업부는 지난 7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을 공모해 SK텔레콤(광주시), 옴니시스템(서울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

광주에서 SKT 컨소시엄은 우선 아파트 7000가구를 대상으로 계시별 요금제, 전력수요관리를 포함하는 요금제 등 다양한 전기요금제를 운영한다.

전력수요관리(DR·Demand Res ponse)는 폭염과 한파 등으로 전력수요가 높아질 때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전기사용자가 전기사용(수요)을 줄이면 전기를 생산한 것과 동등한 가치로 보상해주는 제도다.

500가구씩 2개 단지를 대상으로는 아파트 옥상 등 공용부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생산한 전력을 활용하며,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한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제작해 특정 시점에 전력사용량이 급증하는 예식장·상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에선 옴니시스템 컨소시엄이 주민 참여로 만들어진 신재생에너지를 시민들이 직접 소비하는 스마트 에너지공동체를 실증할 계획이다.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아파트 2000가구, 저층주거·상가·빌딩 등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선택형 요금제를 운영한다.

실증단지 안에서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관리하고 단지 내 주민들이 공유하는 서비스도 도입한다. 가령 각 가정에서 생산한 태양광 전력이 남으면 이웃에 판매하는 식이다.

서울시는 실증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앞으로 시내 전역으로 스마트그리드를 확대할 계획이다.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스마트그리드 단지를 통해 소비자가 수동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수요패턴을 조절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