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월 2일부터 채권시장안정펀드를 본격적으로 시행키로 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27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 등 14개 기관이 참여하는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컨퍼런스콜로 주재하고 이러한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진행 현황을 점검했다.

손 부위원장은 "이르면 내달 2일부터 회사채시장에 자금이 투입된다"며 "채안펀드 약정 규모를 2배로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도 개시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지난 24일 채안펀드 투자리스크 관리위원회를 열고 3조원 규모의 캐피탈콜을 결정했다.

지난 25일에 증권유관기관 중심으로 증권시장안정펀드를 7600억원 규모로 출범시켰다. 민간부문의 출자 협의는 막바지 조율 작업을 진행 중이다.

3월 30일부터는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기업어음(CP)과 전단채, 여전채 등을 매입한다.

매입 규모는 채안펀드 1차 콜 규모인 3조원 범위에서 진행된다. 다만 시장 상황에 따라 규모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한편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위기에 빠진 한국경제에 100조원 상당의 긴급자금을 투입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위기 상황을 맞은 기업과 금융시장에 총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19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밝힌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규모(50조원)를 2배로 확대한 것이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수준을 넘어 중견·대기업으로, 음식·숙박·도소매·서비스업과 항공, 관광 등 업종을 넘어 제조업 등 주력 산업으로 확산함에 따라 대응 범위와 규모를 대폭 키운 것이다.

크게 보면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대출·보증 등 금융지원 규모가 51조6000억원, 주식과 회사채, 단기자금 시장에 공급되는 유동성은 48조5000억원이다.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경영안정자금(대출·보증) 51조6000억원 가운데 29조1000억원이 이번에 증액된 금액이다.

최근 혼란에 빠진 자금시장에는 총 48조5000억원을 공급한다. 채권시장안정펀드를 20조원 규모로 조성해 회사채시장은 물론이고 우량 기업어음(CP)과 금융채도 매입한다. 이미 조성된 10조원을 우선 가동한 후 10조원을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돕는 정책금융 지원 규모도 4조1000억원을 증액했다. 산업은행이 2조2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시행하고 1조9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차환발행도 지원한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만기 도래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들이 사모 방식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면 산업은행이 80%를 인수해 기업의 상환 리스크를 줄여 주는 제도다.

지난 19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발표한 6조7000억원 규모의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을 합치면 회사채 발행 시장에 총 10조8000억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힘든 기업의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해 기업이 직접금융 시장에서 저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