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나눔 칼럼] 서명지CSR impact대표이사

서명지-CSR impact대표이사
서명지-CSR impact대표이사

한국사회는 신사회적위험으로 저출산·고령화의 인구변화, 소득의 양극화, 고용불안정 등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다양한 복지욕구과 복지현안들을 유발하고 있으며, 사회문제해결에 국가의 한정된 자원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민간자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19 사회공헌백서에 따르면 국내 100대 기업의 사회공헌 총 규모는 17145억원에 달하며, 1개 기업이 한해동안 지출한 평균 사회공헌 지출액은 306억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2016 중견중소기업 사회공헌백서에서도 기업이 평균3억원의 사회공헌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지출 분야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하는 사회복지분야이며 그 외에도 기업은 다양한 사회문제의 해결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사회복지기관과 비영리민간단체를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서비스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한국의 복지전달체계에서 정부의 보조금뿐만 아니라 개인·단체의 기부모금과 기업의 사회공헌 재원이 민간자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본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투입되는 비용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복지현장의 욕구에 적절히 부합됐다기 보다 CEO의 의지와 선호도에 따라 지원 대상과 영역에 편중되고 있음도 간과 할 수 없다.

몇 년 전 ARS 를 통해 성금 모금하는 방송사에서 성금배분 운영위원으로 참여한 적이 있었다. 매회 차 지원대상의 사례를 받아 지원 안을 논의 하는데, 한 회 마다 2가정이 선정이 되고, 각 가정에 600~700만원의 성금이 지원됐다. 특집방송을 통해 추가 지원이 있어도 880여만원이 최대 지원됐고 그 마저도 다른 기관의 후원 이력이 있으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국에서 신청된 대상 가정은 다층적인 어려움에 노출돼 있었고 누가 더 열악한 상황인지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상황이었다. 가족구성원의 해체와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실업, 복합적인 노인성 질병, 아동의 학습장애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화재로 인한 생활터전의 전소(全燒) 상황 등은 대상을 선정하는 우리 모두를 암담하게 만들었다.

다층적인 문제에 노출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현금 이외에 다양한 기업의 사회공헌 자원이 연계될 수 없을까?

또한 그 자원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플랫폼이 필요할까? 정부와 사회복지기관, 또한 이렇게 많은 기업들이 취약계층 지원에 참여하고 있는 데, 왜 취약계층의 삶은 나아지지 않을까?

실제 모 석유회사는 저소득 화재피해의 복구를 위해 가재도구를 지원하고, 모 건설사는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개보수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모 기업은 중독에 대한 프로그램 지원을, 모 재단은 노인성 질환에 대한 수술지원을 하고 있었다.

지원 대상의 다층적인 문제를 현금지원 만이 아닌 다양한 사회공헌 지원 사업들로 연계해 퍼즐을 맞춘다면 사회문제해결에 더 큰 임팩트를 줄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자원의 배분과 공급자 방식으로는 시도 할 수조차 없는 한계들이 있었다. 대기업,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사회공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모두가 대상과 영역에 따른 프로그램지원으로 집중한다면 사회공헌 재원은 항상 부족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해관계가 다른 기업의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은 Collective Impact*일 것이다. Collective Impact는 여전히 국내 CSR 컨퍼런스의 화두이며 끊임없이 회자가 되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하는 것이 Collective Impact일까? 협약을 체결하고, 여러 민관기관이 협력하는 것이 Collective Impact일까?

우리는 어쩌면 함께 일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 적이 없고, 한 조직안의 다른 부서가, 더 나아가 서로 다른 기관이 함께 일하고 역할을 나누는 것을 경험한 적이 없다. 공동의 아젠다를 발굴하고, 여러 기관이 하나의 조직처럼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방법을 말이다.

여기에는 끝까지 공동의 목표를 놓치지 않고 작동되는 중추지원조직도 필요하고, 여러 자원이 투입돼 변화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측정과 성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주체도 필요할 것이다.

최근 정부에서도 복합적인 지역사회 문제에 부처별, 기관별로 분절적으로 시행됐던 자원을 연계하고,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단체, 기업의 사회공헌 자원이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협력하는 일들을 시도하고 있다. 거버넌스를 구성하고 이해하는 데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새롭게 문제를 인식하고 협력하는 방식을 학습해 나가면 지금 보다 더 나은 세상에 한층 나아갈 것이라 생각한다.

 

*Collective Impact :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협력적 관계를 이어나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