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OVID 19로 2월 첫째주 스마트폰 판매량 최저점 기록
3월부터는 평년의 80%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중국 시장 스마트폰 주간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급감했던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평년의 80%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춘절 이후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중국정부는 일부 지역 폐쇄에 들어갔고, 공장까지 문을 닫으며 생산라인이 멈추기 시작했다. 이에 스마트폰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애플 등 오프라인 매장이 폐쇄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 또한 위축되어 판매가 급감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2월 첫째주에는 판매량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전월 대비 약 50% 수준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멈추면서 소비심리가 서서히 회복되었으며, 3월에는 평년의 80% 수준까지 올라왔다.

출처: Counterpoint weekly smartphone sales tracker / China COVID-19 New cases (adjust)
출처: Counterpoint weekly smartphone sales tracker / China COVID-19 New cases (adjust)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임수정 연구원은 “스마트폰 판매량과 코로나 확진자수 추이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를 일으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이 제한될 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위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로나로 인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 영향은 2분기 초까지 어느 정도 이어지다가 바이러스의 재발이 없는 한 3분기부터는 완전히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하지만 아직까지는 스마트폰 수요가 평년의 80% 수준 밖에 회복하지 못했고, 글로벌 적으로는 아직 확산 추세에 있다는 점, 중국에서의 재발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중국 주간 판매량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앞으로의 글로벌 시장 패턴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라고 덧붙였다.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코로나 영향이 가장 심했던 2월 첫째주에서 둘째주 사이에 중국 1위 업체 화웨이가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것으로 분석됐으며, 3월 중순 이후로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임 연구원은 “지금 미국와 유럽, 일본에서는 코로나의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들 시장 또한 중국과 비슷한 패턴을 보일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인도에서는 확산 방지를 위해 엄격한 지역 봉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 양쪽 측면에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분기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중국 사례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하반기에 빠르게 수요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지만, 올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역성장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