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서비스산업은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중요한 산업이다. 지난 10년간 OECD 국가의 성장을 주도해 온 산업도 다름 아닌 지식서비스산업이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산업인 지식서비스산업이 우리나라에선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과연 뭘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가 최근 IT업종 및 소프트웨어개발업종 등 지식서비스산업 중소업체 103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업체들은 정부의 제조업 위주 성장정책이 상대적으로 지식서비스산업 발전에 소외를 가져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조업에 비해 차별이 큰 분야로 65.0%(복수응답)가 금융부문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R&D 분야(42.7%) ▲인프라 구축 분야(28.2%) ▲법,제도 분야(18.4%) 등으로 나타났다.

42.8% ‘경영환경 악화’
우선 실물경기 침체로 제조업이 위축됨에 따라 지식서비스업체들도 경영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영환경에 대한 체감도를 묻는 질문에 지식서비스업체들은 42.8%가 경영환경이 악화됐다고 답했으며 양호하다는 업체는 15.5%에 불과했다.
매출규모 또한 작년 상반기에 비해 대다수 업체(62.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규모가 절반이상 감소했다는 업체도 8.7%나 됐다.
이에따라 경영상 사유로 인력을 감축한 업체는 35.9%였으며 인력충원업체는 17.5%였다. 기업 스스로 평가한 경쟁력 우위분야에 대해서는 기술력을 든 업체가 58.3%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인력 28.9%, 가격 18.4%, 정보력 13.2%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판로(7.8%), 자금력(2.9%) 등을 우위분야로 생각하는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지식서비스업체들은 원활한 사업수행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자금확보(62.1%)를 꼽았으며 그 다음이 판로확보(40.8%)와 전문인력 확보(34.0%) 등 순이었다. 이처럼 자금난이 심화된 것은 매출감소에 따른 신용도 하락으로 금융권의 자금회수와 여신축소가 일반화 돼 대다수업체들이 자금경색의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부구매 확대 희망
지식서비스업체들이 제조업과 비교해 차별을 많이 받고 있다고 느끼는 분야는 금융지원(65%)과 R&D 지원(42.7%)분야인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확대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지난 10년간 OECD 국가의 성장을 주도한 지식서비스산업이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정부정책 부재(42.7%) △국내기업의 영세성(34.0%) △지식서비스산업 수요기반 미흡(30.1%) 등 순으로 답해 정부의 제조업위주 성장정책이 지식서비스산업 발전에 소외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들이 경비절감 등을 위해 아웃소싱을 확대하는 추세에 따라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전문인력 공급체계는 상대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식서비업체들은 44.6%가 창의성과 기술력을 겸비한 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업체는 3.9%에 불과했다. 따라서 전문인력 양성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인력 확보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45.6%)와 전문교육기관 신설 및 확충(27.2%) 등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금조달면에서는 54.4%가 어려움을 호소했으며 소기업일수록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나 물적담보 위주의 여신관행 개선과 함께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가능성 등을 종합평가해 대출하는 신용전문 평가시스템이 시급히 도입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업체들은 이자부담이 적고 수혜범위가 큰 저금리 우대금융(71.8%)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제조업 중심의 정책자금 개편(19.4%)이었다.
효율적인 판로확보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구매의 확대(29.1%)와 기술력 확보(26.2%)등을 꼽아 소비위축으로 사기업의 구매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도 안정적인 수요처가 되는 정부구매 확대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기술력향상을 위해서는 인프라구축 및 정보화(55.3%)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R&D 지원자금 개선(30.1%), 표준화, 인증제도의 활성화(18.4%)등 순으로 나타나 그동안 정부의 인프라구축및 정보화가 제조업에 치중돼 왔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한국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화 우려속에서도 지식서비스업체들은 향후 사업전망을 부정적(22.3%)으로 보기보다는 긍정적(44.7%)으로 보는 견해가 많아 향후 지식서비스산업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력 향상 지원해야
한편 지식서비스업체들은 과거 제조업 위주의 차별적 성장정책으로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이 낙후된 만큼 기술력 향상을 위해 연구소 설립 등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담보가치가 적은 자산을 소유한 지식서비스업체의 경우 제조업체에 비해 금융세제상 불이익이 크므로 올해 1천억원에 불과한 중소기업청의 지식기반서비스업 정책전용자금을 대폭 확충하고 신용전문평가시스템을 확립, 금융지원을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세제면에서는 지식기반서비스업체가 서비스업으로 분류돼 세제상의 불이익이 큰 만큼 제조업과 동일한 세제적용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지식서비스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고 판로확대를 위해 고기술력을 보유한 지식서비스업체에 대한 공공기관의 구매를 확대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