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27일 'K-뷰티 혁신 종합전략' 발표
기술 개발·산업생태계 조성·규제 개선·해외진출 등 4대 전략과 세부과제 제시
24년까지 세계 100대 기업 4개→7개, 일자리 9만개 창출 목표

정부는 국내 화장품 산업이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서 인프라 구축, 규제 개선과 수출까지 전 주기에 걸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K-뷰티 혁신 종합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발표했다.

국내 화장품 산업은 지난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75억 달러(약 8조 2710억원) 규모의 연간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지만, 여전히 영세기업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됐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세계 100대 기업 내 국내 뷰티 기업 7개사 진입과 9만여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개별 기업이 시도하기 어려운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비롯해 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 지속 가능한 K뷰티 혁신기술 개발 ▲ K뷰티 산업생태계 조성 ▲ 규제개선을 통한 기업활동 제고 ▲ 전략적 해외진출 지원 등 산업주기에 맞춘 4대 혁신 과제를 제시했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 지속 가능한 K-뷰티 혁신기술 개발

국가별·인종별 피부특성 및 유전체 정보를 수집·분석·활용할 수 있는 피부-유전체 플랫폼을 구축해 주요 수출국가별 피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화장품 개발 인프라를 지원한다. 수집·분석된 피부-유전체 빅데이터는 데이터 기반 K-뷰티 기업 상담(컨설팅)에 활용되고, 향후 유전체 맞춤형 화장품 소재 연구개발(R&D)에도 활용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유화제·자외선 차단제 등 화장품의 기초·범용 소재 국산화 및 정보통신기술(ICT)-뷰티 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중장기 대규모 R&D 사업도 지원한다. 

유자 씨나 동백 씨 등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거나 재활용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소재 개발도 추진한다.

◈ K-뷰티 산업 생태계 조성

연구개발, 해외 인허가, 수출 절차 등 화장품 산업 전주기에 대한 기업 맞춤형 종합 컨설팅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해 기업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K-뷰티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국제 K-뷰티 스쿨‘ 설립(’21~)을 통해 해외연수생을 포함한 연간 최대 8400여 명에 대한 뷰티서비스(피부관리·헤어 등)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가칭)화장품산업육성법 제정도 추진해 화장품산업 육성의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 및 진흥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 규제개선을 통한 기업활동 제고

지난해 신설된 ‘맞춤형화장품판매업’ 활성화를 위해 임시매장 신고절차를 간소화하고, 조제관리사 자격을 취득한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가 하나의 판매장에서 조제관리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겸직을 허용하는 등 조제관리사 고용부담을 완화한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또한, 화장품 고유 특성을 고려해 표시·기재 사항의 유연한 적용 등 규제 합리화를 통해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촉진한다. 

‘고형비누’와 같이 포장을 제거하고 반복 사용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1차 포장 기재의무 완화를 추진하고, 새로운 형태의 제품 특성에 맞게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개선을 추진한다.

◈ 전략적 해외진출 지원

수출 대상 국가별 맞춤형 진출 지원으로 수출시장 다변화를 모색한다. 수출 유망국가에서는 현지 유명 매장과 홍보 공간(팝업부스)·판매장 연계 및 e-커머스 플랫폼에서의 온라인 행사(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한국 화장품의 입지를 강화하고, 신남방·신북방 등 신흥경제권역에 진출하는 기업에는 국제 무역협정 활용방안, 인허가 획득지원 등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국제화장품규제조화협의체(ICCR) 정회원(’20.12.9. 가입)으로서 화장품 국제기준의 검토·승인 및 우리나라 기준·제도 등을 국제기준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아세안국가 화장품 담당 공무원을 초청하고 국내 화장품 규제·제도(맞춤형화장품 및 기능성화장품 제도 등) 교육 훈련을 통해 국내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한다.

국내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인기지역(명동, 홍대 등)에 K-뷰티 체험·홍보관을 신설(’21.9~)해, 연간 600개 중소기업의 3000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K-뷰티 대표공간을 조성한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은 “혁신적인 영감(아이디어) 등 민간의 역량에 정부의 지원이 더해진다면 K-뷰티 산업은 우리나라 신성장동력으로의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하며, “이번에 수립한 K-뷰티 혁신 종합전략을 토대로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한 관계부처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K-뷰티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