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Ⅱ' 수립
정책과 투자의 연결성 높이고 유망 기술수요·투자 공백분야 발굴

정부가 의료기기와 첨단재생의료 등 바이오헬스 10개 분야 연구개발(R&D) 투자 전략을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29일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해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전략Ⅱ'(이하 ’투자전략Ⅱ’)을 수립하고 제9회 바이오 특별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바이오 특별위원회'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바이오 분야 범부처 종합조정기구로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과 산학연 민간위원 등 총 23명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수립한 투자전략Ⅱ는 2019. 12월에 수립된 '투자전략Ⅰ'과 함께 정부가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헬스 전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전략이다. 

과기정통부는 R&D 분류 체계를 기존 7개에서 10개로 재조정하는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Ⅰ'을 수립한 바 있다.

바이오헬스 분야 분류체계 조정(’19.12 /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투자전략Ⅰ) [과기정통부 제공]
바이오헬스 분야 분류체계 조정(’19.12 /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투자전략Ⅰ) [과기정통부 제공]

당시 발표한 전략에는 10개 분야 중 원천·기반연구,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 등 4개 분야에 대한 맞춤형 투자 전략만 담겼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Ⅱ를 공개함으로써 총 10개 분야 투자 전략을 마무리 지었다.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법·제도 기반의 정책 등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헬스 연구·산업 지원 정책과 연계한 투자전략을 수립해 정책과 투자의 연결성을 제고한다.

둘째, 연구·산업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유망 기술수요와 투자 공백 분야를 발굴하고 단·장기 중점 투자 방향 마련을 통해 중장기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셋째, 기초 단계의 성과 발굴 등을 통해 기초·응용·개발 단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전주기적 연구개발을 지원해 연구개발의 산업화를 촉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번 투자전략 수립을 위해 총 90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실무작업반(워킹그룹)을 구성·운영해 현장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10개 분야에 대한 맞춤형 투자전략을 제시했다.

10개 분야는 ▲ 원천·기반연구, ▲ 바이오융복합, ▲ 의약품, ▲ 의료기기, ▲ 첨단재생의료, ▲ 헬스케어서비스, ▲ 임상·보건, ▲ 산업혁신·규제과학, ▲ 전문인력양성, ▲ 생명자원·정보인프라 등이다.

바이오헬스 분야별 체계도 [과기정통부 제공]

이번 전략에 따르면 바이오 융복합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과 융합해 신약 개발을 늘리고 차세대 의약품 개발 R&D 투자가 확대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국내 기술 사업화 역량을 키우고 해외 진출 R&D 기반을 다진다.

첨단재생 의료 분야에서는 유전자 편집기술 등을 적용한 재생의료 치료제의 기능성을 키우고, 줄기세포·오가노이드(인공장기) 기반 재생의료 기술 산업의 활용도를 높인다.

임상·보건 분야에서는 예측 모델링을 개발하고 감염병 기반 R&D 투자를 늘린다.

미래 유망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생명 연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R&D 투자도 강화한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건강과 의료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바이오헬스 연구와 산업 역량에 대해 점검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정부 연구개발에서도 전략적인 투자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전략은 바이오헬스 분야의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에 활용할 계획인 만큼, 사업을 추진하는 관계 부처가 이번 전략을 참고해 적극적으로 공백영역 발굴, 신규 사업 기획 등을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전략」 주요 내용 [과기정통부 제공]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