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이는 영업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라기보다는 금리하락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줄어든 것이 결정적 요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 등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증대 노력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앞으로 금리상승기에 기업들의 수익성이 다시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최근 한국은행이 내놓은 ‘기업수익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체의 평균 경상이익률은 지난 91∼96년 2.1%에 불과했으나 2002∼2004년에는 6.0%로 높아져 90년대 외환위기 이전 시기에 비해 약 3배 높은 수준으로 개선됐다.
이처럼 경상이익률이 개선된 것은 금융비용부담률(금융비용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 91∼96년 5.8%에서 2002∼2004년 1.9%로 3.9%포인트 개선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금융비용부담을 제외한 순수 영업활동의 결과를 보여주는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91∼96년 7.1%에서 2002∼2004년에는 7.0%로 제자리 걸음을 했다.
따라서 기업의 수익성 향상이 영업활동보다는 저금리정책으로 인한 금리하락과 차입금 축소로 인한 재무구조 개선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은은 밝혔다.
대기업의 경상이익률은 외환위기 이전 90년대의 2.3%에서 2000년대는 7.3%로 5.0%포인트 개선된데 비해 중소기업은 1.3%에서 3.7%로 2.4%포인트 개선되는데 그쳤다.
이는 정부가 대기업계열에 대해 주채권은행을 통해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 이행토록 하는 등 대기업의 구조조정을 강력히 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채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한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