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실업률’35개국 중 28위

캐나다의 정책연구기관인 프레이저연구소가 최근 주요 35개국의 지난해 경제고통지수를 조사한 결과 상위 5개국 스페인(17.6), 그리스(15.7), 이탈리아(12.0), 아이슬란드(11.3), 스웨덴(10.9)에 이어 한국(6.0)28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것으로 미국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가늠할 수 있게 고안한 지표다. 다만 프레이저연구소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국가별 물가, 실업률 추정치를 토대로 계산해 국가별 최종 집계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35개국 중 28위로 비교적 하위권에 속했지만, 전년 또는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경제 고통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국내 기준에 따르면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와 실업률을 반영한 지난해 경제고통지수(6.2)2011(7.4)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19(4.2)2020(4.5)보다도 크게 뛴 것이다.

이는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탓이다. 석유류, 가공식품, 개인 서비스, ··수산물 등의 전방위적 가격 급등세가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자주 구입하고 지출 비중이 커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쌀, 라면 등 144개 품목으로 계산되는 생활물가도 10년 만에 가장 높은 3.2%로 뛰었다. 생활물가는 서민들의 체감도를 보여주는 체감물가로도 통한다.

실업률은 지난해 3.7%2020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지만 질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자영업자들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점을 고려할 때 고용시장이 나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편 미국의 경제고통지수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5.5에서 20209.3, 202110.0으로 높아졌다. 지난해 실업률은 5.3%로 전년보다 2.8%포인트 떨어졌지만 물가 상승률이 4.7%4배 가까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중반이나 그 이상, 실업률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라며 오미크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 등 원자재·에너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올해 경제고통지수도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