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구역별 신산업 육성 비전 제시
2031년까지 51조원 추가 투자

핵심산업 추가개발 수시 검토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

인천 경제자유구역(경자구역)이 바이오의약품 생산 확대를 통해 2031년까지 매출 15조원 규모의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로 거듭난다.

또 경기·충북 경자구역은 친환경차·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거점으로, 울산·동해안 경자구역은 수소 등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중심지로 각각 도약한다.

정부는 지난 14일 제128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9개 경제자유구역청이 수립한 1차 중장기 발전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전계획은 바이오·헬스케어 모빌리티 에너지 첨단기술·부품 물류 휴양·관광 등 산업 분야별로 각 경자구역의 장기 발전비전과 핵심전략산업 특화·육성 전략을 담고 있다.

 

바이오·모빌리티·에너지 산업 육성

먼저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인천 경자구역이 바이오의약품 생산 확대를 위한 주기 밸류체인(가치사슬) 확보에 나선다.

이를 통해 2020년 기준 매출 2조원, 고용 5천여명, 생산역량 56만리터 규모를 2031년까지 매출 15조원, 고용 2만여명, 생산역량 100만리터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충북 경자구역은 산··연 협업과 국제협력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신약 개발의 집적화에 나선다.

대구경북은 미래의료기술연구동, 첨단임상시험센터, 의료기술시험원 등 스마트 의료기기 제조·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의료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모빌리티 분야에선 경기 경자구역이 인근지역 자동차산업 여건과 미래모빌리티센터, 지능형 무인이동체 연구소 등 기존의 클러스터를 활용해 중소·벤처기업을 유치하고 실증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충북 경자구역은 청주공항과 연계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과 관련 부품산업, 항공정비산업을 중점 육성한다.

광양만 경자구역은 양극재 생산 규모를 20195000톤에서 202385000톤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전구체 공장 신규 유치, 지역 연구소 연계 등을 통해 이차전지 생산 기지로 발돋움한다는 구상이다. 양극재 생산량 85000톤은 연간 약 75만대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양이다.

에너지 분야는 울산 경자구역이 수소에너지(연료전지), 모빌리티(수소전기차·수소트램) 등 수소 활용을 확산해 세계적인 수소 선도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250메가와트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 역량을 갖추고 수소모빌리트 67000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광주 경자구역은 에너지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분야의 신기술·서비스 실증 사업화에 주력한다.

동해안 경자구역은 액화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및 재생에너지 기반 연구개발 사업과 연계해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외 투자유치 총 91조 목표

첨단기술·부품 분야와 관련해선 부산진해, 대구경북, 광주 경자구역이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로봇 기술과 관련한 신산업 창출을 지원한다. 특히 광주 경자구역은 2024년 구축이 완료되는 국가 AI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를 기반으로 인재 양성과 창업생태계 조성에 힘쓸 방침이다.

물류 분야에선 인천과 부산진해 경자구역이 세계적인 공항·항만 인프라를 기반으로 첨단물류 플랫폼과 전자상거래, MRO(항공정비) 등 신산업을 연계한 동북아 물류허브를 구축하기로 했다.

휴양·관광 분야는 인천 경자구역이 6조원 규모의 투자를 바탕으로 영종도 내 3개의 복합리조트(파라다이스·RFKR·인스파이어)를 조성해 동북아 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

동해안 경자구역은 백두대간, 올림픽 유산 등 관광 요소를 활용해 정주형(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사는 유형) 국제복합 관광도시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350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진다.

정부는 9개 경자구역청의 발전계획이 성공적으로 이행되면 2031년까지 국내외 추가 투자유치 51조원(누적 91조원), 입주 사업체 추가 유치 6600(누적 13000), 일자리 21만개 창출(누적 38만명) 등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이번 투자 유치 및 일자리 창출 성과가 우수한 경자구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 지원과 맞춤형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