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은“선진국 사례인 OECD 자료를 활용하여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낮을 때는 공공일자리를 확대해도 실업률이 증가하지만,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높아지면 공공일자리 확대 시 실업률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2일 발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27개 국가들의 최하위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1% 증가 시 실업률이 0.48% 증가했지만,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대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1% 증가 시 실업률이 2.22% 감소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OECD 27개 국가들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패널 데이터이다.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하위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증가해도 실업률이 증가했다. 그 이유는 민간기업 자율성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창출효과 보다 공공일자리가 확대됨으로써 민간일자리가 공공일자리로 대체되는 구축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다.

반면,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대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감소했다. 그 이유는 민간기업의 자율성 수준을 높이면 창출되는 일자리 효과가 공공일자리 구축 효과보다 더 컸기 때문이다.

가공하지 않은 OECD 27개 국가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낮은 경우에는 (OECD 국가들의 50% 이하) 공공일자리와 실업률이 비례했지만,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높은 경우에는 (OECD 국가들의 50% 초과) 공공일자리와 실업률이 반비례했다.

[그림 1] 공공일자리와 실업률의 관계 (* 출처: 파이터치연구원)
[그림 1] 공공일자리와 실업률의 관계 (* 출처: 파이터치연구원)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민간기업 자율성 수준은 OECD 27개 국가 중 16위로 OECD 평균에 못 미쳤고, 핀란드, 미국, 독일 등 주요국가보다 낮았다.

[그림 2] 2019년 OECD 27개 국가의 민간기업 자율성 비교 (* 출처: 세계경제포럼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그림 2] 2019년 OECD 27개 국가의 민간기업 자율성 비교 (* 출처: 세계경제포럼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이번 연구를 수행한 마지현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민간기업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주52시간 근무제를 폐지하고, 기업의 지급여력을 고려하여 최저임금 인상률은 명목 경제성장률과 연동해야 한다" 며 "기업의 부담을 가중화시키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고용보험 의무를 백지화하고, 과잉규제를 방지하기 위해 영국처럼 의원입법 규제영향평가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