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가량은 변화 체감 못해
자금 지원이 정책 1순위 꼽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지난 1월 중소벤처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 동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벤처기업 5곳 중 1곳 정도만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을 위해 준비가 됐거나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글로벌 공급망 변화를 체감하는지에 대해 43.0%는 체감한다고 답했고, 9.0%는 변화가 예상된다고 응답했다. 47.7%는 체감하지 못한다고 답했다그러나 공급망 변화 대응을 위해 준비가 됐거나 준비 중이라는 응답은 불과 18.0%였고, ‘준비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69.0%였다. ‘준비할 계획이라는 답변은 13.0%였다.

원자재 조달처는 국내조달·자체 생산이 50.6%로 가장 많았고 중국 24.7%, 미국 6.0%, 일본 4.4%, 유럽 3.5% 등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를 체감하고 있거나 예상하고 있다고 응답한 157개 기업을 대상으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물은 결과에서는 79.6%부정적이라고 답했고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7.0%에 그쳤다. ‘변화 없다는 응답은 13.4%였다.

또 글로벌 공급망 변화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137개 기업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생산 활동 단계로는 원자재 수급 단계(53.3%)가 가장 많이 꼽혔고 뒤이어 부품 등 중간재 조달 단계(27.0%), 최종 납품단계(10.9%), 생산단계(8.8%) 등 순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 시 가장 큰 애로 사항(175개 조사)은 대체 조달처 발굴(31.3%)과 자금 부족(29.0%), 신규거래처 발굴 판로 개척(22.2%) 등의 순으로 꼽혔다.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을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191개 조사)으로는 정책자금(47.9%), 대체조달처 발굴(15.3%), 원자재 비축(12.7%), 신속 통관 및 물류 지원(11.6%), 기술개발 지원(5.7%)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이에 중진공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으로 정책자금(원부자재 구입, 재고 확보) 공급망 다변화(수입 의존도 높은 품목 대상 국가별 대체 조달처 DB 구축 등) 공급망 대응 역량 강화(자립화 핵심기술 분야 인력 지원, 디지털화 지원 등) 공급망 대응 기반 구축(국내 생산기반 마련, 지역·업종 맞춤형 공급망 진출 지원)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