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 역풍 맞닥뜨린 가짜 ESG경영

기업에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 열풍이 불며 그린워싱(greenwashing)’도 늘어나고 있다. 그린워싱은 녹색(Green)과 세탁(Washing)의 합성어다.

국제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ESG 성과를 허위 공시하거나, 부적합한 금융상품을 ESG로 분류하는 등 ESG를 단순히 마케팅수단으로만 활용하는 행위를 통칭한다.

ESG는 매출액, 영업이익처럼 숫자로 명확히 나타낼 수 있는 재무지표가 아니다. 그래서 비재무적 요소라고 불린다. ESG 투자란 투자 결정과정에서 실적 등 재무적 요소와 더불어 ESG라는 비재무적 요소까지 고려하는 것을 뜻한다.

ESC가 비재무적 요소이다 보니 그린워싱같은 가짜 행동에 빠질 가능성도 높아졌다. 기업이 겉으로만 친환경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비용과 생산구조에서 진짜 친환경 활동을 접목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그린워싱은 국제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ESG 성과를 허위 공시하거나, 부적합한 금융상품을 ESG로 분류하는 등 ESG를 단순히 ‘마케팅’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행위를 통칭한다.
그린워싱은 국제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ESG 성과를 허위 공시하거나, 부적합한 금융상품을 ESG로 분류하는 등 ESG를 단순히 ‘마케팅’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행위를 통칭한다.

그린워싱으로 정부로부터 허위과장 광고에 따른 시정 조치나 과징금, 벌칙 등의 제재를 받을 위험도 커졌다. 배출가스 저감성능을 허위로 광고했던 아우디폭스바겐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제조한 자동차가 고연비와 친환경성을 동시에 충족했고 유럽의 배출가스 기준(유로5)에도 맞는다는 광고를 했다.

하지만 인증 시험 중에만 유로5 기준을 충족시켰을 뿐 평소엔 기준치에 미달한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이 회사는 2016년 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373억원을 부과받았다.

경쟁사가 그린워싱을 지적해 법적 분쟁을 겪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 소재기업인 알칸타라는 지난해 같은 소재기업인 미코를 상대로 극세사 제품을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하는 광고를 금지시켜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내 법원으로부터 인용받았다. 미코는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최초이자 유일한 극세사’, ‘100% 재활용이 가능한 극세사등의 표현을 쓰며 자사 제품을 광고해왔다.

배출가스 저감 허위로 광고

공정위, 폭스바겐에 과징금

금감원, ESG펀드 심사 강화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과거엔 정부와 시민단체, 일부 소비자 정도가 지적했던 그린워싱 문제 제기가 이제는 국제기구 보고서 등으로도 이뤄지고 있다.

그린워싱을 차단하기 위한 법 개정과 기업 내부통제 장치 마련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로열더치셸은 나무를 심는 사업으로 탄소를 흡수한다는 광고를 냈다가 네덜란드 광고심의위원회로부터 석유를 쓰면서도 탄소중립이 가능하다는 주장은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지난해 한 비정부기구(NGO)로부터 석탄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석탄 관련 자산에 최소 85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기업가치평가(valuation)의 대가인 애스워드 다모다란 뉴욕대 교수는 일련의 기고를 통해 재무이론 관점에서 ESG 투자가 전통적인 투자전략에 비해 초과수익률을 줄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본질적으로 ESG는 사람들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서 컨설팅회사, 평가서비스회사, 펀드매니저만 배불리는 금융사기로서 기업과 사회에 아무런 혜택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ESG 투자 세계에 선한 의지가 사회적 명분에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 쓸모 있는 바보들과 그들을 이용하는 무책임한 악당들만 남게 될 것이라 비난한다.

한국 역시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2월 발표한 ‘2022년도 금융감독원 업무계획에서 ESG 펀드에 대한 심사 강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세부적으로는 ESG를 표방하는 펀드의 포트폴리오 구성 등 투자전략에 대한 심사를 강화할 예정이다.

그린워싱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규제 형태로 강화될 수밖에 없다. 이런 규제는 말과 행동의 일치를 확인하는 일회성 점검도 있겠지만 제도화한 규제로도 나타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은 그린워싱에 대한 규제를 두려워하거나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ESG 정신의 본질에 충실하게 진실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길밖에 없을 것이다.

 

- 하제헌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