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수입의 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공급망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14일 자동차산업연합회(KAIA)가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자동차업계 애로 해소와 대책을 주제로 개최한 제27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중 분쟁과 코로나19 영향에도 글로벌 공급망의 중국 의존은 심화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연구위원에 따르면 전 세계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3.9%에서 지난해 15.3%까지 높아졌다.

국내 자동차 생산의 해외부품 의존율은 12% 내외로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자동차 부품의 일본 의존도는 줄어든 반면 중국 의존도는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1.8%올해 1~4

2차전지 핵심 음극제는 83%

자동차 부품 수입국 중 중국 비중은 20001.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4.9%로 급등했으며 올해 1~4월에는 36.2%에 달했다. 일본 비중의 경우 200045.5%에 달했지만, 지난해 11.6%에 이어 올해 1~411.1%로 떨어졌다.

특히 조 연구위원은 전기차 핵심 부품인 2차 전지 소재 및 원자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지 소재 가운데 음극재는 83%, 양극재·전해액·분리막은 각각 60% 이상 중국에 의존하는 중이다. 제련한 원자재의 경우도 흑연 100%, 망간 93%, 코발트 82%, 니켈 65%, 리튬 59% 등을 중국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조 연구위원은 ·중 분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이슈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에게 더욱 중요하게 됐다앞으로 국내 공급 생태계를 강화하는 한편 공급망 관련 지역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다변화 관련 정보 제공, 현지 투자 지원, 공급망 관련 산업 전반의 모니터링 기능 강화, 글로벌 동맹을 통한 공급망 위험 대처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포럼에서 이성수 숭실대 교수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관련해 최소 2~3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며 반도체 설계 및 생산 인프라의 국내 정착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병조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가 2~3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공유경제 모델의 국내 장려, 반도체 분야에 대한 장기적 투자 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