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지난해 현황 분석·대응방안 보고서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은 8%로 2017년 대비 1.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은 8%로 2017년 대비 1.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최대 수입국이었던 한국이 2020년 이후 2년 연속 대만에 밀려나면서 중국 내 입지가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은 8%2017년 대비 1.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10대 수입국 중 가장 큰 하락폭으로 중국과 무역분쟁을 겪은 미국의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폭(1.7%p)보다도 큰 숫자다.

품목별로 보면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메모리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부품, 합성섬유, 페트병의 원료가 되는 파라크실렌 등에 대한 중국의 수입은 늘어났으나, 수입처가 대만 및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으로 일부 옮겨가면서 한국의 점유율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국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 통신장비, 전자부품 등 정보통신(ICT) 제품군에서 한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720.5%에서 지난해 17.9%로 감소하며 주요국 중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대만과 아세안의 수입점유율은 각각 5.6%p, 1.9%p 증가하면서 한국을 대체했다.

2017년 대비 1.9%p 낮은 8%

대만 이은 2위서 3위로 추락


중국 수입구조 변화에 따라

고부가 품목 발굴 전략 필요

보고서는 한국의 점유율 하락에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외에 중국 내 한국 반도체 기업의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수입 대체 등의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가공단계별로는 중간재 및 소비재의 수출 부진이 중국 내 점유율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의 중국 수출은 80% 이상이 중간재 수출이나 지난해 중국의 중간재 수입이 2017년 대비 50.3% 증가하는 동안 한국산 중간재 수입은 21.7%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한국산 중간재 수입점유율도 2.9%p 하락했다. 소비재 수입시장에서도 한국은 아세안, 미국, 독일 등에 밀려 3%대 점유율에 머물고 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중국 고위기술 품목 수입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대만은 비메모리반도체,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등 주력 품목의 경쟁력을 앞세워 중국 고위기술 중간재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고위기술 중간재 수입 점유율은 2019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아세안에 역전됐다.

김아린 무역협회 연구원은 중국의 가공무역 억제 및 중간재 자급화 등 산업구조 고도화가 한국의 중국 수출에 장기적으로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수출 품목 다양화, 고부가가치 전략 품목 발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추가 양허 협상 추진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