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 첫 노조 생긴 애플

지난달 18일(미국 현지시각), AP 통신 등 외신은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인근 토슨의 애플스토어 매장에서 직원 투표를 통해 애플 노조 설립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18일(미국 현지시각), AP 통신 등 외신은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인근 토슨의 애플스토어 매장에서 직원 투표를 통해 애플 노조 설립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시가총액 세계 1, 애플에 사상 첫 노동조합이 들어서게 됐다. 지난달 18(미국 현지시각), AP 통신 등 외신은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인근 토슨의 애플스토어 매장에서 직원 투표를 통해 애플 노조 설립이 결정됐다고 보도했다. 직원 110명 중 65명이 찬성, 33명이 반대표를 던진 것이다. 이들은 미 최대 산별 노조 중 하나인 국제기계·항공우주 노동자연합(IAM)에 가입해 자체 지부를 결성하게 된다. IAM은 약 1년간 애플스토어 직원들과 함께 노조 결성을 추진해왔다. 이 단체는 미국의 가장 큰 산업 노동조합의 하나로 노동자 약 60만명이 가입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AM은 홈페이지를 통해 “100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는 이 매장에서 압도적으로 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표는 애플코어(애플 소매노조)’라는 이름의 직원 단체가 임금과 근로시간, 안전조치 등에 대한 발언권을 요구하며 노조결성 운동을 벌인 데 따른 것이다. 미국 애플스토어 270여곳 중 노조 결성안이 투표를 통과한 것은 처음이다.

애플 소매노조(Apple CORE)는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노조 투표에서 이겼다열심히 일한 모든 사람과 지원해준 분들에게 감사하고 축하한다고 밝혔다. 애플스토어 직원들은 그동안 노조 결성을 꾸준히 시도했지만, 투표까지 이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최근 몇 달 동안 미국 전역 애플 매장에서 직원들이 노조 결성에 관심을 표명해왔다. 이달 초 애틀랜타에 있는 한 애플 매장에서도 노조 결성 투표가 추진됐으나 사측이 임금을 인상하고 제공 혜택을 강조하면서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또 일부 직원들은 애플이 노동 관련법을 위반하고 공정한 선거를 불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뉴욕·애틀랜타도 추진 본격화

애플본사선 사태 관련 무반응

공정에 민감한 MZ세대 주도

이 외에도 사측이 직원들의 노조 결성을 방해한다는 의혹은 꾸준히 제기됐다. 앞서 미 통신노조(CWA)는 지난달 18일 미국 노동관계위원회(NLRB)에 애플을 노동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애플 측이 노조 설립을 추진하는 뉴욕 세계무역센터 애플스토어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반노조 연설에 참여할 것을 강요했다고 판단해서다. 업계에선 이번 노조 결성으로 다른 애플 매장으로 움직임이 확산될 지 지켜보고 있다. 현재 뉴욕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매장 등에서 노조 결성을 준비하고 있고, 애틀랜타 매장에서도 다시 노조결성 선거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측은 첫 노조 설립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최근 미국 대기업에서는 노조 결성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의 뉴욕주 버펄로시 매장이 창사 이래 첫 노조를 결성했고, 미 전역 9000여 개 매장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역시 무노조 경영을 고집해온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회사 아마존에서도 사측과 격렬한 갈등 끝에 지난 4월 뉴욕시 스태튼 아일랜드에서 첫 노조가 결성됐다.

미국에선 20세기 중반 이후 노조 조직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특히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구인난으로 노동자 우위 구도로 바뀐 상황에서, 빅테크와 글로벌 기업 내에서 빈부 격차가 커지고, 공정 이슈에 민감한 MZ세대가 대거 노동 시장에 진입하면서 노동 문화가 급변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타벅스와 아마존 노조 결성 움직임도 20대 대졸자들이 주도했다는 것이다.

미국 사회 내에서 노조 설립에 대한 공감대는 커지고 있다. 지난해 9월 갤럽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8%노조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57년 만에 가장 높은 지지율이다. 다만 잇따른 노조 설립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직원을 대규모 해고하는 등 오히려 노동자의 고용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높아진 인건비나 유지비를 기업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 하제헌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