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코리아 부활 필수조건은 중소기업 퍼스트 정책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22일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용 주단소재 보관장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 축소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22일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용 주단소재 보관장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 축소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윤석열 정부 주도의 원자력발전(원전) 산업 활성화가 본격적인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큰 피해를 입었던 중소기업계는 산업 생태계가 붕괴하면서 영세 중소기업이 대다수가 폐업직전까지 몰리고 있다윤석열 정부에선 신속한 일감 확대와 자금지원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원전은 각종 부품이 많이 필요한 대표적인 다품종 소량 생산산업 중 하나다. 반도체·자동차 등 중후장대형 산업처럼 전후방 연관 경제효과가 큰 것도 특징이다. 이 때문에 원전 소재와 부품을 공급하는 회사를 비롯해 원전 운영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곳들의 90% 이상이 중소기업이다. 하지만 지난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펼치면서 매출이 급감하고 인력이 떠나면서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사실상 고사상태에 놓였다.

 

씨 마른 장비·부품업체 일감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년도 원자력산업 실태조사 결과 원전 중소업체들이 속한 원자력 공급 산업체 매출은 201655034억원에서 20204573억원으로 26%이나 급감했다.

무엇보다 산업 생태계가 무너지면서 어렵게 인력을 채용하고 사업을 영위하던 수많은 중소기업이 급격한 영세화 단계에 직면했다. 매출 100억원 미만의 원전 중소업체 비중이 201679.4%에서 202087.4%로 급증하게 된 것.

원전 중소기업계는 이미 전체 업체의 90% 이상이 언제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영세화됐다지난해부터 수주가 아예 끊겨버린 곳들이 속출하는데 정부가 이들을 핀셋 지원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산업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0년 기준 원전 장비·부품업체 645곳 중 242(37.5%)은 관련 수주가 전혀 없어 3곳 중 1곳은 일감이 아예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정부 들어 추진되는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 정책에 방점을 찍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복원하기 위해 넘치도록 지원하겠다고 천명하기도 했다.

정부는 원전 최강국 도약을 위해 정책 마련에 속도를 낸다. 목표는 현재 운영 중인 원전 24기에서 오는 203028기 가동 확대다. 설비용량은 지난해 23.3기가와트(GW)에서 203028.9GW 규모로 늘린다. 원전 발전 비중은 지난해 27.4%에서 203030% 이상으로 확대된다.

 

에너지융복합단지 지정 추진

특히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원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동시에 경쟁적으로 지원 속도를 내고 있다.

산업부는 원전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안에 444억원 규모의 일감을 추가 발주하고 원전 관련 연구·개발(R&D)에도 3200억원을 더 지원키로 지난 10일 발표했다.

특히 원전 관련 업체가 집적화된 경남 창원에 R&D 지원이나 지방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날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창원에서 열린 원전업계 간담회에서 일감과 R&D, 금융, 산업단지, 수출 등 다방면의 원전업계 지원 정책 현황과 계획을 약속했다.

앞서 지난 6월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렸던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 대책에 따라 올해 정부는 1306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862억원의 일감이 이미 발주됐고, 444억원 규모의 일감이 연내에 발주되는 것.

정부 탈원전에 中企 고사 직전

산업부·중기부, 기업지원 가속화


원전中企 성장동력 확보 기대감

계량·밸브 등 협동조합도 주목

중소기업 맞춤형 자금 지원책도 마련했다. 현재까지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원전 관련 R&D 투자를 약 3500억원 집행했다. 정부는 올해 목표 6700억원까지 약 3200억원을 앞으로 추가 집행한다는 계획으로 여기에 원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15억원 규모의 자금을 신설해 8월 안에 신청을 받는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원자력발전 업계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에 215억원을 지원한다.

지원계획에 따르면 중기부는 원전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필요한 중점품목을 지정하고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사업비 30억원),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150억원),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35억원) 등을 통해 해당 품목 개발에 총 215억원을 투입한다.

중점품목은 원전용 지진분리 장치, 밀폐 공간 감시용 로봇, 원격 표면 방사전 측정·제염 병행 장비 등 51개다. 7월부터 가동되기 시작한 원전 분야 전문가 13명으로 구성된 기술혁신 연구반이 검토해 중기부에 제안한 품목들이다.

중기부는 한국수력원자력과 72억원 규모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 투자기금을 조성하기 위한 업무협약도 맺었다. 투자기금은 차세대 원전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원전 핵심장비 주축은 中企

이처럼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책이 발표되면서 원전 사업을 영위하던 중소기업들은 기사회생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아울러 기존 원전 사업을 하지 않던 중소기업들도 새로운 기회로 삼고 투자에 나설 수 있게 됐다. 특히 밸브·소프트웨어·계량·계측 등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연관된 업종 중소기업에도 부흥을 준비하는 원전 사업에 뛰어들 기회요인이 충분해 보인다.

원전은 누리호 발사체 개발과 같이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조립을 담당하고 수많은 장비와 부품을 중소기업에 대거 의존해야 한다. 게다가 원전은 중소기업이 핵심 장비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실례로 원전의 머리와 신경조직이라고 하는 계측 제어설비와 시스템을 공급하는 회사 대부분이 중소기업이다. 새롭게 원전 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는 한 계측시스템 중소기업 대표는 원전 기술개발은 다른 분야보다 전문지식이 많이 필요하다숙련 개발자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가 산업 지원육성과 함께 전문인력의 조기 양성대책도 동시에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