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기업들, 협력사에 동참 요구

전 세계적인 친환경 캠페인이 기업 활동에 큰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글로벌 거래처로부터 ‘RE100’ 캠페인에 동참하라고 요구받는 우리 기업이 하나둘 늘어나고 있다. RE100을 실천하지 않는 기업이 실질적인 불이익을 볼 수도 있는 상황이 구체화되고 있는 것이다.

RE100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캠페인이다. 여기에 참여한 기업은 직접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재생에너지 생산자로부터 공급인증서를 구매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

민간에서 주도하는 운동이라 구속력은 없다. 하지만 RE100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네트워크를 결성하고 이들끼리 거래를 지속할 경우 다른 기업은 글로벌 영업망을 유지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이미 세계 주요 기업이 RE100에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나 애플, BMW 같은 기업은 협력사에도 RE100 동참을 요구하고 있다. 친환경 행보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은 산업 생태계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미 지난 2021KDI 정책대학원과 에너지경제연구원은 한국 기업들이 2040년까지 RE100에 가입하지 않으면 반도체 수출이 30%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中企, 친환경비용·인력확보 역부족

손놓고 있다간 글로벌 시장서 도태

지자체 차원 전담팀 구성이 급선무

문제는 우리 기업들이 RE100 요구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들은 RE100 참여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비용 부담(35.0%)을 꼽았다. 관련 제도와 인프라 미흡(23.7%), 정보 부족(23.1%), 전문인력 부족(17.4%)을 지적한 곳이 뒤를 이었다.

특히 우리 중소기업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친환경을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이득일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비용이나 인력의 추가적인 투입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이다. RE100 조건을 이행하려면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짓거나 녹색프리미엄제도를 통해 웃돈을 주고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해야 한다.

아니면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한다. 더욱이 친환경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지, 어디와 협력해야 하는지를 몰라 어려움을 겪는 기업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해 최근에는 중소기업의 친환경 행보를 돕는 제도 및 프로그램이 정부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마련되고 있는 점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친환경 비즈니스를 조금 더 수월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형 RE100 제도를 발표했다. 이는 국내 전기이용자가 공급인증서 구매나 자가 발전, 3자와 협력 등의 방법으로 재생에너지 이용에 참여하면 한국에너지공단을 통해 재생에너지사용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 해외 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국내에서 RE100을 달성할 수 있어 중소기업의 친환경 행보에 큰 도움이 된다.

·소 규모 공장들도 우선 에너지 효율을 높인 뒤 상황에 맞춰서 태양광 발전시설과 소형 풍력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얼마든지 RE100 달성이 가능하다. 우리 중소기업들도 RE100에 손 놓고 있으란 법은 없다. 다만, 대기업은 자금력이 있고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비해, 중소기업들은 이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정부가 나서서 지원해야 한다. 특히 각 기업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RE100 전담팀을 만들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는 RE100을 달성한 기업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서라도 RE100 확산 풍토를 우선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 하제헌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