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에 따라 올해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이라는 큰 성과를 앞두고 있지만, 최근 기재부가 내년도 스마트공장 예산을 2000억원 가까이 삭감한다는 소식에 중소기업들은 당혹감을 느끼고 있다. 또한 정부의 스마트공장 예산 축소가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의 대표적 모범사례인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도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다.

·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은 중기부가 대기업 등과 협업해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삼성, 포스코, 한전, LH 32개 주관기관과 중소기업중앙회, 생산성본부 등 5개 협업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중기부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619개사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으며, 올해 중기중앙회는 265억원의 예산으로 약 400개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은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고 있어 평균 경쟁률이 31 이상이다. 대기업들이 시행착오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중소기업 현장에 전수해 주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은 200명의 전담 멘토가 스마트공장 구축 전 과정을 중소기업 임직원과 함께 추진하고, 제조현장 혁신활동을 통해 열악한 제조현장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른 사업성과도 탁월하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을 통해 마스크, 진단키트, 백신주사기를 제조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해 K방역을 한국의 수출주도산업으로 견인했다. 중기중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삼성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미도입 기업보다 영업이익 37.6%포인트, 매출액 11.4%포인트, 부가가치 23.4%포인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의 93.9%는 정부의 지속적인 스마트공장 지원을 희망하며, 삼성 스마트공장에 대한 만족도는 88.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스마트공장 예산 축소는 신중하게 재고돼야 한다. 자칫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찬물을 끼얹고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중소기업은 근로자의 안전한 일터 구축, ESG 경영, 탄소중립과 같은 새로운 경영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해결 방법은 어렵지 않다.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ESG 경영 등 중소기업이 직면한 경영애로를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삼성, 포스코를 비롯한 업종별 전문 대기업들이 자발적인 참여와 사회적 책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로 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마중물역할을 하는 스마트공장 예산마저 대폭 축소된다면, 기술력과 자본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의 높은 파고를 넘기 어렵게 된다. 윤석열 정부가 표방하는 상생 협력과 미래형 스마트공장을 통해 약 58만개 중소 제조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조 혁신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이 확대 추진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