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미국의 대표적인 C2C 플랫폼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결합된  포쉬마크와 빅딜을 성사시켰다.
네이버는 미국의 대표적인 C2C 플랫폼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결합된 포쉬마크와 빅딜을 성사시켰다.

네이버가 빅딜을 성사시켰다. 한국 인터넷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다. 네이버는 글로벌 정보기술(IT) 본진인 실리콘밸리에서 진검승부하겠다는 전략으로, 미국 내 자회사를 통해 북미 최대 패션 C2C(개인 간 거래) 플랫폼 지분 100%23211억원에 취득했다. 그 주인공은 바로 포쉬마크(Poshmark)’.

포쉬마크는 커뮤니티 서비스가 결합된 미국 대표적인 C2C 플랫폼이다. 2011년 설립 이후 총 8000만명 이상 사용자를 확보했다. 특히 C2C 분야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포쉬마크란 이름은 사실 한국에선 생소한 편이다. 따라서 국내 이용자들 사이에선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가 비교되고 있다. 패션에서 특히 거래자 간 커뮤니티가 잘 구축돼 있다고 전해진다.

여기에, 포쉬마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스타그램처럼 소셜·커뮤니티 기능까지 강화시켜 차별화를 더했다. 이러한 점은 무신사와도 닮았다. 무신사도 커뮤니티와 패션, 옷 착장 후기를 공유하는 문화를 기반으로 성장한 기업이기 때문이다.

포쉬마크 사용자(구매자)는 미국 우편번호격인 집코드(ZIP code) 단위로 지역별 피드 및 팔로잉 구성이 가능하다. 자신이 팔로우한 인플루언서나 셀러의 피드를 보며 취향에 맞는 아이템이나 게시글을 발견할 수 있다. 앱 내에서 포쉬파티라는 라이브 비디오 포맷 가상 쇼핑 이벤트 기능도 제공 중이다.

소셜 기능에 힘입어 앱 내에서 유명해진 판매자들은 포셔(Posher)’라고 불리는 인플루언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커뮤니티 및 커머스 기능 선순환에 힘입어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포쉬마크 사용자 80%를 차지하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포쉬마크의 1일 평균 접속시간은 25분 이상으로 활발하다.

패션 C2C플랫폼 포쉬마크인수

커머스와 소셜 잇는 교두보 확보

中企도 라이브 스트리밍 정조준

올해 네이버 새 수장이 된 최수연 대표가 글로벌 C2C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통 큰 승부수를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 대표는 인수 발표 이후 진행한 컨퍼런스 콜을 통해 이번 인수는 국내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네이버가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C2C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단숨에 확보한 것이라며 커머스와 소셜을 연결하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C2C 플랫폼이나 커뮤니티 플랫폼 등 전체를 아우르는 건 라이브 플랫폼이다. 네이버처럼 MZ세대의 놀이터가 된 라이브 플랫폼에 역량을 집중하는 중소기업, 스타트업도 보다 더 다양해지고 있다. 소비자와 판매자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중과 만난 것처럼 친밀한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라이브 스트리밍이 부상한 배경은 크게 보면 두 가지 요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먼저 미디어의 변화다. 스마트폰 보유율이 202093.1%에 이르고, 10~50대를 기준으로 하면 98%를 초과했다. 국민들 상당수는 이제 TV를 필수 매체로 인식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필수 매체로 인식하는 추세이다.

또 하나는 소비 트렌드의 변화다. 디지털에 익숙한 MZ세대가 전체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선도자로 부상하면서 이용자들을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로 불러 모으고 있다. 재미있는 콘텐츠와 범용화된 플랫폼이 만나면서 장보기가 일이 아닌 놀이가 되는 하나의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하이브는 팬덤 플랫폼 위버스를 운영하는 자회사 위버스컴퍼니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하이브는 플랫폼 역량을 위버스패밀리에 몰아 시너지를 더욱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이브는 최근 위버스 재팬과 위버스 아메리카 법인 설립을 완료,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거점을 마련한 바 있다. 위버스컴퍼니는 올해 7월 영상 라이브 기능을 도입한 위버스 2.0’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네이버 팬덤 플랫폼 브이라이브기능을 위버스에 적용한 게 골자다. 위버스컴퍼니는 지난해 1월 네이버로부터 41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네이버 브이라이브의 사업 양수를 발표한 바 있다. 위버스는 연말까지 네이버 브이라이브와 통합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라이브커넥트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라이브 플랫폼인 라커스(LAKUS)를 기반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2022년부터 거리두기 완화 효과에 따른 온라인 공연 송출 횟수는 전년 대비 35%가 증가했으며, 이중 대면공연과 온라인 공연이 동시 진행된 공연이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이처럼 국내 주요 업체들이 라이브 플랫폼 시장에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실리콘밸리와의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도 머지 않아보인다.

 

- 김진화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