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76곳 공동사업 사례 소개
업종별 맞춤사업 확대 바람직

지난해 중소기업협동조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원자재값 급등, 고물가, 고금리 등 국내외적 복합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조합원사와 힘을 합쳐 다양한 공동사업을 활발하게 펼쳐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뉴스는 중기중앙회 협업사업팀의 협조를 받아 지난해 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41건 및 지자체 지원사업 35건 등 총 76건의 사례를 시리즈로 연중 소개했다.

공동사업 사례는 총 44개 조합의 41건이 소개됐다.

각 조합의 주요 공동사업 유형은 매우 다양했다. 공동구매(8)와 정부위탁사업 수행(8)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동판매(6), 온라인·스마트 판매 지원(4), 단체표준 제정(3), 전시회 개최(2), 조합 간 협업거래(2), 공동시설 운영·개선(3), 공동브랜드 개발·운영(1), 원부자재 공동구매 전용보증제도 활용(1), R&D 지원(1), 교육 및 인재양성(1), 시험·검사(1), 적격조합제도 활용(1), 제품 A/S 지원(1), 정부입찰 참여(1)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대표기관의 위상을 확보하고 조합원사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조합들로는 한국제약협동조합(공동시설 운영) 한국펌프공업협동조합(공동브랜드 운영) 대한가구산업협동조합연합회(원부자재 공동구매 쇼핑몰 운영)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플라스틱시험원 운영)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공동판매)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한 사례로는 한국가스판매업협동조합연합회가 별도법인을 설립해 다양한 정부 위탁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최근 산업이 융복합·디지털 중심으로 재편 중임을 고려할 때, 향후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은 업종별 성격과 상황에 맞게 공동구·판매와 정부위탁사업 수행을 비롯한 R&D 지원, 조합 간 협업거래 등 다양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지자체 지원사업 유형도 조합별로 다양했다. 34개 조합이 지자체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았으며, 사업유형은 공동시설 건립·증축·개선 및 운영 지원(8)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비 구매 및 시설 구축 지원(6), 행사개최 지원(5), 교육·인재양성 및 일자리창출 지원(3), 공동브랜드 개발·운영(3), 전시회 개최·참가 지원(2), 공동판매(1), 조합 간 협업거래 지원(1), 인건비 지원(1), 컨설팅 지원(1), PB상품 개발비 지원(1), 온라인 플랫폼 런칭 지원(1), 통근버스 운영(1)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지원사업의 특성상 공동시설 건립·증축·개선 및 운영 지원이 8개 조합(23.5%)에 해당돼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무적인 부분은 장비 구매 및 시설 구축 지원도 6개 조합(17.6%)으로 나타나 지자체가 업계의 기술경쟁력 향상에도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지원사업을 활용해 업계에 큰 도움을 이끌어낸 조합들로는 부산경남봉제산업협동조합(부산시·질병관리본부에 마스크·방호복 납품) 대구경북섬유직물협동조합(대구시 지원받아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 운영) 경남직물진주실크공업협동조합(진주시 지원받아 우즈베키스탄에 실크원사 생산공장 설립) 등을 꼽을 수 있다.

현재까지 지자체의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조례가 광역지자체 17곳과 기초지자체 80곳에서 제정됨에 따라 대부분의 광역 및 기초지자체에서 협동조합에 대한 지원 근거가 마련됐다.

또 지난 20214월부터 개정된 중소기업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협동조합도 중소기업의 지위를 인정받게 돼 향후 지자체 지원사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