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디지털 전환전략 미비”
61%, ESG 평가요구에 부담
교육·비용지원 따라야 효과

최근 몇 년 사이 필수 경영 트렌드로 떠오른 디지털 전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해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부담스러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3곳 중 2곳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기업 10곳 중 거의 9곳이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을 평가하고 있었지만 중소기업의 60% 이상이 대기업의 이런 요구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디지털 성숙도 40.7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내수 및 수출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의 64.3%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답변은 19.0%에 그쳤고 보통이라는 응답은 16.7%였다.

디지털 성숙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40.7점 수준이었다.

제조업이 41.4점으로 비제조업(39.2)보다는 높고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수출기업이 내수기업보다 높았다.

디지털 전환에 대비해 필요한 사항(복수 응답)으로는 디지털 기술 장치·프로그램 확보’(27.0%), ‘기업 문화 변화’(23.7%),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23.0%), ‘디지털 기술 활용 전문 컨설팅’(22.7%) 등 순으로 꼽혔다.

한편, 대기업 10곳 중 거의 9곳이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이 제대로 되는지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이 나쁜 협력사에 페널티를 준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중소기업들은 평가 요구가 커진 만큼 대기업들이 ESG와 관련해 시설·설비·자금 지원을 늘려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중기중앙회는 지난 10일 대기업 30곳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ESG 평가 부서 설문, 협력사 108곳 대상 설문을 취합한 대기업의 협력사 ESG 관리현황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 30곳 중 협력사 ESG 평가를 한 기업이 26(87%)으로 2019년 같은 조사 때보다 3분의 1 정도 늘었다. 또 평가를 수행 중인 대기업 중 18(69%)은 그 결과를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로 구매정책에 반영했다.

인센티브를 준 곳이 13, 페널티를 준 곳이 16곳이다. 둘 다 준 곳도 있다. 인센티브만 부여한 대기업은 3, 페널티만 준 경우도 5곳으로 집계됐다.

탄소중립을 위해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는 기업은 14곳이었다. 향후 협력사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제출 요구가 거세질 것으로 중기중앙회는 전망했다.

 

대기업의 ESG 지원 부족

협력사 61.1%는 이러한 대기업들의 ESG 평가 요구가 부담(다소 부담 50.9%, 매우 부담 10.2%)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 협력사 58%는 대기업의 ESG 평가 강도가 점차 세진다고 답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대기업의 ESG 관련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협력사들은 대기업의 지원이 필요한 항목으로 ‘ESG 관련 시설·설비개선’(20%), ‘관련 자금’(19%), ‘교육’(10%)을 꼽았다.

대기업의 ESG 관련 지원이 아예 없다고 답한 비율도 42%나 됐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지만 준비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SG와 관련해서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대기업의 평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교육·컨설팅·시설·비용지원 등의 지원이 수반돼야만 대·중소기업이 함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