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방역 고수로 경제 흔들
탈중국·공급망 다변화가 변수

중국이 고강도 제로 코로나정책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내외 악재 속에 지난해 경제성장률 3.0%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172022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121207억 위안(22270조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중국의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원년인 2020(2.2%)보다는 높지만, 문화대혁명(19661976) 마지막 해인 1976(-1.6%)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또 중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때 제시한 작년 성장률 목표치인 ‘5.5% 안팎에 크게 미달한 것이다.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이 공표한 목표를 하회한 것은 목표치를 처음 제시한 1994년 이후 1998년과 2014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중국 GDP 성장률은 20202.2%로 위축된 이후 2021년에는 기저효과에 힘입어 8.4%로 반등했다. 이에 코로나19 팬데믹 12년차에는 대공황 이후 최악이던 세계 경제 위기 속에 나름 선방했다는 평가를 들었다.

그러나 작년에는 국제사회의 대체적 위드 코로나전환 흐름과 달리 중국 정부가 11월까지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와중에 경제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중국의 성장률 급락은 철저한 봉쇄와 격리를 시행한 제로 코로나정책 여파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에너지·원자재 급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대내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가 각지에서 벌어진 뒤 작년 127제로 코로나 정책폐기로 여겨진 10개항 방역 완화 조치를 발표했지만, 그 이후의 감염자 폭증세 속에서 연말까지 경기 반등 효과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같은 날 발표된 중국의 인구 감소 소식은 중국은 물론 국제사회 전체에 작지 않은 충격파를 던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자국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1175만명으로, 2021년 말의 141260만명보다 85만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인구 감소는 같은 날 경제성장률 둔화 소식과 겹쳐지며 극적 효과를 더했다.

중국이 성장세를 얼마나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가 경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추정한 중국의 올해 성장률은 4.8%였다. 이밖에 세계은행(WB)은 지난 10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4.3%로 제시했으며 모건스탠리,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등은 성장률이 5.5% 이상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대내외 상황이 밝지만은 않다.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내수가 둔화했으며, 중국의 최대 성장 동력인 수출도 타격을 입고 있다.

중국의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9.9% 줄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미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각국 투자자의 탈 중국·공급망 다변화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중국 성장세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가 핵심일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슈바라만 노무라 그룹 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리오프닝을 하고 있지만 경제 회복은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억압됐던 수요가 풀리면서 내수가 경기 회복을 견인할 것이라면서도 과거 만큼 중국 정부의 부양책이 효과적이거나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