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은 기업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등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결정해 움직이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사양산업이라고 일컬어지며 쇠퇴일로를 걷던 막걸리가 언젠가부터 힙(hip)한 술이 돼 매출 400억원대를 달성했다는 스토리도 20대 젊은 대표가 일궈낸 결과였다.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문인력 채용지원 사업이 이달부터 본격 실시됐다. 협동조합이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신규 인력을 채용하면 1명당 월 인건비의 70%까지 200만원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고, 최대 2명까지 채용이 가능하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평균 조합원사 수는 120.1개이지만 상근 직원수는 평균 3.9명에 불과하다.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조합의 28.6%만이 사업 전담인력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다각화나 신규 공동사업 추진에는 늘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번 사업을 통해 협동조합은 소정의 교육과정을 거친 전문인력을 협동조합 공동사업의 기획, 실행, 성과관리, 네트워크 구축 등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획기적인 지원과 더불어 중소기업협동조합 60년 역사에서 협동조합에게 제공되는 최초의 인력지원 사업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협동조합에 대한 전문인력 채용지원 예산을 반영하기까지 중소기업중앙회는 정부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오랜 기간 협의를 해왔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우리경제의 산업화에 기여해 왔지만 협동조합 60년 역사에 비해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 지원 여건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2019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협동조합에 대한 보조금 지원주체를 모든 중앙정부 및 기초지자체까지 확대하고 협동조합에 대한 중소기업 지위 인정 등 성과를 이끌어 냈다.

이와 더불어 중기중앙회는 협동조합의 공동사업을 수행할 전문인력지원에 대한 정책적 필요성을 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계획(2~3)에 반영할 수 있도록 협동조합 현장의 의견을 전달해 왔다. 이에 따라 이번 사업의 반영은 협동조합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시행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로도 읽혀진다.

이번 지원을 통해 인력부족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공동사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 인력이 수혈되면 활발히 추진하지 못했었던 탄소중립, ESG 등 메가트렌드 대응을 위한 혁신형 공동사업과 온라인 판로 콘텐츠 개발 등 협동조합의 디지털 전환 사업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협동조합에 공동사업 전문인력을 수혈한다는 제도의 취지를 충분히 살리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과제가 남아있다. 현재까지 전국의 17개 광역지자체와 87개 기초지자체가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조례를 제정한 만큼, 전국 지자체 산하의 협동조합 및 사업조합도 참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도 지원예산을 반영해야 한다. 협동조합도 이 제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십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공급망(Value chain) 재편 등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 속에서 미래 대응 역량이 생존과 직결되는 상황이다. 전문인력 충원을 계기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새로운 사업 성공스토리가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