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커머스는 좋은 제품을 만들고도 판로를 찾기 힘들어 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는데 10개 사업자 중 9개가 대기업 계열사이다 보니 판매수수료는 높고, 중소기업제품 편성비율은 낮다.”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T커머스 중소상공인 판로확대 정책토론회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밝힌 내용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비자가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와 20~30분 단위로 녹화방송이 가능한 T커머스가 소량 판매를 특징으로 하는 중소상공인에게 최적화된 상품판매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결과 T커머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취급액이 20161조원에서 2021년에는 7조원까지 늘어났다. 대기업 제품은 소비자 인지도가 높고, 자체 판매망을 비롯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T커머스 채널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판로지원을 우선시해야 한다.

하지만 김 회장의 지적처럼 대기업 일색인 현행 T커머스 사업자들은, 소유구조 탓에, 과도한 판매수수료와 낮은 중소기업 제품 편성비율(73% 내외)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실제 T커머스의 판매수수료는 32.7%인 반면, 중소기업 제품 편성비율이 80% 이상인 홈앤쇼핑의 판매수수료는 24.9%T커머스보다 30% 정도 저렴하다. 이렇게 수수료가 저렴하다보니 많은 중소기업이 홈앤쇼핑에 납품하고 싶어 줄을 서는데 그 수요를 다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국내 7개 홈쇼핑 중 5개가 대기업 계열사인데, 이들 모두 T커머스 채널을 가지고 있어 대기업 홈쇼핑은 T커머스와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내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반면, 홈앤쇼핑은 T커머스 채널이 없고, 소비침체와 맞물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어 대비된다. 이처럼 홈쇼핑과 T커머스도 대기업 중심으로 시장이 기울어져 있어 공정성과 형평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이슈는 일자리 창출과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이다. 하지만 이를 틈타 대기업들은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가 소비자 후생을 축소시킨다는 이유로 이의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이는 대기업들이 과당경쟁 우려를 이유로 내세우는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채널 신규 허용을 반대하는 논리와는 상반된 입장이다. 2011년 홈앤쇼핑이 만들어질 때도 기존 대기업 홈쇼핑사들은 시장포화와 채널과다를 이유로 극심한 반대를 했었다. 다행히 대선 과정에서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설립이 중소기업 판로지원을 위한 핵심 과제로 채택되면서 2012년 홈앤쇼핑이 개국할 수 있게 됐고, 중소기업 제품 80% 이상 편성과 업계 최저 수준의 판매수수료로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이처럼 중소기업계가 중심이 된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채널이 생기면 대기업 중심의 T커머스 시장에 메기 역할을 하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판로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신설시 3000억원의 매출 증대효과가 있다는 미디어정책학회의 연구결과도 있다. 정부가 하루빨리 중소상공인 전용 T커머스 채널을 신설해 소상공인과 중소벤처기업의 판로확대 기회를 넓혀 줘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